경 기 옛 길

6.22.경기옛길 영남길 - 제 4길 석성산길

최윤영(연산동) 2019. 6. 24. 21:16



* 보개산(석성산)신위 제단 


* 석성산 정상석


경기옛길 영남길 - 제 4길 석성산길. 19.06.22.

(용인의 진산 석성산.)

 

도보구간 : 동백호수공원-등산로입구-1/2코스갈림길-석성산정상-봉수대터-

               용인시청갈림길-처인구보건소(등산로입구)-용인행정복지센터

도보거리 ; 약 6.5km/약 3시간 (실 시간 )

교 통  편 : <지하철2호선 강남역-신분당선 미금역(분당선 환승)-기흥역(경전철)-어정역 하차

               >용인시청역(경전철)-기흥역(분당선환승)-미금역(신분당선환승)-강남역하차



용인의 진산 석 성 산.
석성산(石城山)은 동백지구를 감싸고 있는 주산(主山)이자
용인문화복지행정타운까지 이어지는 용인의 진산(鎭山)입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부산 동래에서 시발된 내지봉수가 석성산을 거쳐 가기도 했으며
신라시대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성산성(보개산성, 할미산성)이 있는 곳입니다.
석성산은 넓어진 용인시 행정구역의 중심지역에 위치하여
오늘날 용인 동서화합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 에버라인 어정역

* 동백호수공원

* 중앙광장 무대

* 어수물.어정 이야기

* 제 4길 석성산길 안내판

* 제 4길의 출발점 좌측계단

* 계단을 올라서면 동백중앙로 육교이며 석성산 입구 임.

* 육교에서 바라본 호수공원

* 호수공원에서 석성산으로 오르는 입구 전경

* 등산로 안내판

* 석성산 입구 돌계단

* 아침 숲속의 숲내음을 맡으며 ~

* 산책길 곳곳에 세워져 있는 보행등 ?

* 숲속의 쉼터  팔각정자

* 산책길의 각종 운동기구

* 등로 초입부터 계속 야자매트가 깔려 있네요.


* 호젓한 숲길을 걸으며 ~

* 한숲공원 삼거리 쉼터

* 용인시 박물관 이야기

* 용인시 박물관(동백도서관) 갈림길

* 숲사이로 보이는 동백도서관 (건너편에 용인시 박물관이 있음)


*  등로옆으로 신축중인 타운하우스

*  용인 중동 석곽묘 안내판


* 중동 석곽묘 안내판을 보고 이곳인가 했더니 주택 신축부지여서 실망.  어디까지 파헤치려는지 ~

* 정상을 향해 있는 보개산(석성산의 이명)산신 제단

* 이곳부터 정상을 향하여 ~


* 야자매트를 따라가다 갈림길에서 계속 직진(1코스)할것. 우측(2코스)진행해도 중간에 만남.

* 2코스 오름길

* 1-2코스 정상 등로인 이곳 갈림길에서 만남

* 정상 직전의 테크 계단

* 테크계단 위의 이정표

* 정상으로 오르는 마지막 계단

* 등산객들이 휴식을 취하는 정상 쉼터

* 용인의 진산인 성산일출 이야기

* 정상석을 배경으로 ~


* 석 성 산

용인의 진산 석성산은 일명 보개산(寶盖山). 성산(城山)으로도 불리는데

용인현읍지와 대동지지 등에 보개산은 현 동쪽 13리에 있으며 일명 석성산(石城山)

이라 불린다 라는 기록을 통해 확인할수 있다. 또한 석성산은 조선 후기까지

보개산으로 불리었는데 보개산 석성(石城)은 현 동쪽에 있으며 높고 험하며

 둘레가 9백 42보(步)이고 안에 작은 우물이 있는데 가뭄을 만나면 말라 버린다 라는

보개산의 이명인 석성산이라는 지명유래로 짐작할수 있는 기록으로 현 동쪽에

봉화가 1곳 인데 석성(石城)이고 보개산성은 석축으로 주위는 2529척이나

 이제는 모두 무너졌다는 기록으로 보아 보개산에 축조되었던 석성 때문에 석성산

  또는 성산(城山)으로 불린 것이 아닌가 합니다.

* 정상에서 바라본 마성리일대

* 영동 고속도로

* 용인 동백. 백현지구

* 정상을 내려서며 바라본 쉼터

* 하산길 첫 테크 계단


* 봉수대 헬기장 입구

* 용인 석성산 봉수터



* 봉수대터를 내려서며 테크 계단이 ~

* 석성산 석성에 관한 안내판

* 숲속의 푸르름에 시원함이 ~

* 테크 계단길을 내려서니 숲속에 보이는 통화사로 ~

* 석 탑


* 통 화 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 2교구 본사 용주사 말사인 통화사는

용인시의 진산인 석성산(471m) 정상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로써 창건
 배경은 창건주 조정행 초대 주지가 석성산 정상부에 있던 강대사 라는 사찰 신도였으며
  강대사가 폐사되자 70~80년전에 지금의 위치에 불사를 하게 되었다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사찰보살 증언)주로 고찰에는 조사당이 있지만 통화사는 사당이 있다.

사당에는 정암 선생 영정, 창건 주지 조정행 스님 영정과 성산의 전설 등 자료가
 있었지만 도난 당한 상태이다.(주지 스님 증언) 통화사를 불사할 즈음에 심한 가뭄으로
 마을사람들이 석성산에 절을 짓기 시작하여 비가 내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반대를 하자 스님께서 몇 월 몇 일에 비가 온다는 말씀을 하자 비가 내려서 통화사를

불사할 수 있었다는 일화가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사찰보살 증언)

* 원 통 보 존

* 손길이 아쉬운 미륵불

* 단청이 다 벗겨진 삼성각과 천불전

* 천 불 전

* 통화사에 무슨일이 있는걸까 ?  의구심을 갖고 나서며 ~

* 정상 등산로와 통화사 입구 갈림길

* 굳게 닫혀있는 통화사의 종무소 였던듯 ~

* 용인시에서 등산객의 안전을 위해 새로정비한 기와돌담 길.


* 성벽인줄 알었던 기와돌담길이 일부 구간이지만 아름답게 정비되어 있네요.

* 통화사 표지석


* 기와돌담길을 벗어나니 통신대로 오르는 도로가 ~

* 도로전 좌측 숲길로 내려설것

* 도로에서 내려서는 길은 막아놓음.

* 직각으로 굽은 나무에서 싹이 ~

* 용인 시청 방향으로 ~


* 숲길을 내려서면 갈림길에서 군부대 사격장이라고 출입통제인데 사격이 없어 직진하였읍.

* 고개마루 계단

* 계단을 올라서니 각종표지판이 ~

* 역삼동 이야기



* 곳곳에 쉼터가 ~


* 이곳부터 군부태 철책옆 길을 따라서 ~


* 군부대를 지나면서 이곳에도 출입금지 표지판이 ~ (사격 훈련때는 양쪽에서 통제하는듯.우회길 이용)

* 메 주 고 개

* 메주고개 이야기


* 이곳 이정표의 용인시청으로 가지말고 직진하여 다음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



* 이곳에서 용인시청 방향으로 ~


* 석성산 이야기가 이곳에도 ~


* 숲길을 내려서니 석성산길 용인문화복지행정타운 도착점.

* 영남길 안내판

* 석성산 등산로 초입. 영남길 제 4길의 도착점이자 제 5길 수여선길 출발점.


* 제 5길 수여선길 진행방향

* 처인구 보건소

* 가는날이 장날이라고 벼룩시장이 ~

* 벼룩시장 축하공연

* 벼룩시장 풍경

* 좌측은 청소년수련관.  우측은 노인복지회관.

* 용 인 시 청

* 에버라인 용인시청 용인대역


* 에버라인을 타고 기흥역으로 ~


* 에 필 로 그

오늘아침에 컨디션이 좋아 영남 4길 석성산길을 다녀오자고 부축이는데

한번 마음 먹은것을 뿌리칠수도 없는것이 우선은 코스가 짧고

산은 아니지만 한남정맥에 속한 용인의 진산이기에 가벼운 마음으로

서너번씩 환승을 하며 어정역에 도착 동백 호수공원을 반바퀴

돌아 중앙광장 계단옆 출발점을 시작으로 계단을 올라 육교끝에 위치한

석성산 입구로 들어서며 상쾌한 이른아침의 숲길을따라 걷는

동안 나도모르게 "아~너무좋다" 하는 중얼거림으로 호젓한 숲속에홀로

있는듯한 착각속에 팔각정자에 올라 아침공기로 심호흡을 ~

다시 숲길을 따라 걷다보니 등로 옆으로 푸르른 숲이 주택용지로 마구 

파헤쳐 지는 개발 현장이 좋았던 기분을 잠시 앗아가 버리고


산허리 숲길을 돌아 정상을 향해 가며 점차 가파라지는 등로를 오를때

로프난간에 의지하며 계속 이어지는 테크 계단을 쉬엄쉬엄

올라서니 벌써 많은 등산객들이 테크 전망대 쉼터에서 휴식을 즐기는

석성산 정상. 길게 뻗은 영동고속도로와 용인 아파트단지를

둘러 본후 정상석을 배경으로 흔적을 남기고 봉수대 터 방향으로 내려

서며 테크계단이 끝나는 숲사이로 보이는 사찰 경내로 다가

서니 조용한 경내에 스님 독경소리만 새어나올뿐 적막감 마져 감도는

 통화사를 둘러보고 사찰 입구로 내려서니 성벽인줄 알었던

 기와 돌담 길이 등산객의 안전을 위해서 용인시에서 새로 정비했다는 

아름다운 길을 벗어나며 군부대 철책길을 벗어나며 제 4길

도착점 처인구 보건소 앞으로 내려서서 스탬프를 찍고 다시 발길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