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산 윤선도 오우가 碑
※ 흥 인 지 문
종로둘레길 3 - 4코스
(낙 산 / 청계천 구간)
도보구간 : 성북역사문화공원-혜화문-혜화동로타리-마로니에공원-낙산놀이마당- 낙산성곽서길-
흥인지문공원-흥인지문-청계천 오간수교-마전교-세운교-광통교-청계광장
도보거리 : 약 6Km (실 9.5Km) 탐방시간 : 2시간 분 (실 3시간 15분 소요)
교 통 편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6번출-버스2112번환승 (또는1111 / 1112 /03번)-성북초교앞 하차.
>지하철 1호선 시청역 4번 출구
※ 종로 둘레길 3 - 4 코스 램블러
※낮과 밤이 아름다운 성곽 산책
한양도성을 따라 아기자기한 카패와 맛집을 둘러보고
경사가 완만하여 산책하듯 걷기좋은 코스입니다. 낮에가도 좋지만 조명이 켜진
한양도성길과 어우러진 서울의 야경도 놓칠수 없는 낙산의 매력입니다.
※ 종로둘레길 3코스 낙 산구간 (성북역사문화공원)
※ 성북 역사문화센터
※ 성북역사 문화공원 성벽을 따라서 ~
※ 이곳 갈림길에서 좌측 성벽길을 따라 와룡공원으로 ~
※ 와룡공원으로 오르는 길 ~
※ 좌측 경신고 담 골목길을 따라서 ~
※ 경신중학 입구
※ 혜화문 쉼터 우측으로 ~
※ 혜화문으로 오르는 계단
※ 혜 화 문 ( 惠化門 )
※ 혜 화 문 ( 惠化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었던 조선전기 서울 성곽의 4소문 가운데 동북쪽 문(門).
혜화문은 조선왕조가 건국되고 5년 뒤인 1397년(태조 5)에 도성을 에워싸는 성곽을 축조하면서
함께 세웠다. 이 때 도성에는 4개의 대문과 4개의 소문이 설치되었는데, 동문과 북문
사이에 위치하였으므로 ‘동소문(東小門)’이라고도 하고. 처음에는 문 이름을 홍화문(弘化門)으로
하였다가 1483년(성종 14)에 새로 창건한 창경궁의 동문을 역시 홍화라고 함에 따라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1511년(중종 6)에 혜화로 고쳤다.
※ 혜화동 사거리로 ~
※ 혜화동사거리에서 앱 스탬프를 찍기위해 혜화동 주민센터와 올림픽기념 국민생활관을 둘러보기위해
우측 길을따라 다녀오며 다시 사거리에서 마로니에 공원으로 ~
※ 혜화동 주민센터
※ 혜화 초등학교 입구
※ 올림픽 기념 국민생활관
※ 대한민국 제 1공화국 국무총리와 부통령을 역임한 운석 장면(張勉)박사.가옥 입구의 조형물
※ 다시 혜화동 사거리에서 이화사거리(마로니에공원) 방향으로 ~
※ 혜화 사거리에 몽양 여운영 선생 서거지 표지석이 ~
※ 동성고등학교 입구
※ 지하철 4호선 2번 출구
※ 마로니에 공원 입구
※ 마로니에공원 (좋은공연 안내센터 앞) 낙 산 스탬프함
※ 고산 윤선도 오우가 碑
※ 오 우 가 (五友歌)
조선 시대,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물, 돌, 솔, 대, 달의
다섯 가지 자연물을 벗에 비유한 작품이다.
※ 마로니에 공원의 옛 서울대학교 터 표지석
※ 옛 서울대학교 모형
※ 낙 산으로 가기위해 아르코예술극장앞으로 ~
※ 낙 산 공원 가는길
※ 낙산 중앙광장 출입구
※ 낙산공원 중앙광장
※ 제 1전망대 방향으로 ~
※ 안 산. 인왕산 방향
※ 남 산 방향
※ 북한산 방향
※ 낙 산 (124.4m) 조망지점에서 한컷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방향
※ 창 신 동
※ 성곽을 따라서 ~
※ 갈림길 우측은 벽화마을 방향
※ 흥인지문(동대문)을 마주하며 ~
※ 옛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병원 터 표식
※ 한양도성 박물관
※ 흥인지문 공원(종합안내판 우측 뒤편) 쳥계천 스탬프함
※ 물길따라 즐기는 도심 속 문화
도심을 가로지르는 청계천은 시민들의 쉼터이자 야외 문화공간 입니다.
천을 따라 걸으며 만나는 복원 다리에서는 서울의 오랜 역사와
문화를 하천의 동.식물로 부터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수 있습니다.
※ 종로둘레길 4코스 청계천 구간 (흥인지문)
※ 흥 인 지 문 (동대문)
※ 흥인지문 교차로
※ 흥 인 지 문 ( 興仁之門)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문.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며, 속칭 '동대문'이라 부른다.
본래 ‘흥인문’이었으나 풍수지리상 한양의 동쪽이 비어있다 하여 ‘지’자를 넣어
무게감을 실어 주었다고 한다. 1996년 일제강점기 문화재 재평가작업을 통해 ‘흥인지문’이라는
본래 이름을 되찾았다.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 이곳이 예전 동대문 천차의 차고지 였는데 ~
※ 오 간 수 교
※ 버 들 다 리 (일명 전태일 다리)
※ 전태일 흉상
※ 나 래 교
※ 마 천 교
※ 광 장 시 장 입구
※ 새 벽 다 리
※ 배 오 개 다 리
※ 세 운 교 (세운상가 청계천구간)
※ 관 수 교
※ 수 표 교 ( 교량보수 예정)
※ 전태일 기념관
※ 주말이라 곳곳에서 시위가 ~
※ 삼 일 교
※ 장 통 교
※ 광 교
※ 광 통 교
※ 모 전 교
※ 왜가리가 미꾸라지를 물고 있네요
※ 청계천 시작점
※ 청 계 광 장
※ 종로둘레길 15.8km (실 21.7km) 5코스 출발점 청계광장으로 원점회귀 하며 ~.
※ 광화문에서 시청앞까지 시위 인파로 ~
종로둘레길의 남은 3~4코스를 걷기위해 나서며 엇그제 북악산 우회
구간에서 와룡공원 대신 성균관대학으로 내려왔기에 오늘은
3코스 출발점인 성북역사 문화공원에서부터 이어가기위해 지하철 한성대학역에서
버스로 성북초교앞에 내려 와룡공원 갈림길에서 한양도성길을 따라
혜화문을 둘러본후 혜화사거리에서 우측 길을따라 앱스탬프 인증을위해 혜화동
주민센터와 올림픽기념 국민생활관과 장면박사 가옥까지 확인하고
다시 사거리에서 마로니에 공원으로 다가서며 스탬프함 옆에 세워논
고산 윤선도 오우가 비와 옛 서울대학교터 기념비를 살펴본후
낙산공원 중앙광장으로 올라서며 제 1전망대에서 놀이마당위 낙산 조망지점에올라
도심을 둘러보고 성곽을따라 내려서서 흥인지문공원 입구에서 청계천
구간 스탬프를 찍은후 오간수교를 시작으로 청계천을 가로지르는 12개의 다리를
지나 모전교를 끝으로 청계광장 출발점으로 원점회귀 하고 있다.

'둘레길후기(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둘레길5-1-2코스 (광화문-인왕산-북악산 우회코스) (0) | 2025.03.14 |
---|---|
경기둘레길 52코스 오이도 역방향 구간 (0) | 2024.12.25 |
경기둘레길 53코스 배곧 한울공원 역방향 구간 (0) | 2024.12.25 |
'누비'따라 누비는 경기둘레길 가을 숲길 걷기-가평 24코스 (0) | 2024.11.03 |
옛 추억의 기찻길 따라 도전 물소리길 한달 완주 - 9코스 (0)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