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동산행기(1)

08.10.25. 강화도로 떠나보는 가을나들이-정족산 전 등 사

최윤영(연산동) 2017. 6. 13. 14:03

* 전 등 사 -08.10.25.

 

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며

381년(소수림왕 11)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한 절로, 1266년(원종 7)에 중창된 이래

3, 4차례의 중수 되었고 기록에 의하면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현존하는 우리나라 사찰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창건 당시에는 진종사(眞宗寺)라고 했으나

1282년(충렬왕 8) 충렬왕의 비인 정화공주가 승려 인기(印奇)를 중국 송나라에 보내

대장경을 가져오게 하고, 이 대장경과 함께 옥등(玉燈)을 이 절에 헌납한 후로

전등사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1337(충숙왕 6), 1341년(충혜왕 2)에 각각 중수되었다고 하나 당시 전등사의 역사를

알려주는 기록은 거의 없는 실정이며 1605(선조 38), 1614년(광해군 6)에 일어난

2차례의 화재로 절의 건물들은 완전히 소실되었고,

그 다음해 4월부터 지경(志敬)이 중심이 되어 재건하기 시작해

7년 만인 1621년 2월에 완성되었다 한다.


* 오 두 산 - 오두돈대
 
인천광역시 강화군 동부에 있는 불은면소재지에 구릉지와 평지를 이루고 있는 .
덕성리에는 덕진진· 광성진· 광성돈대. 오두돈대 등의 유적가운데 하나로
돈대란 ?
성벽 위에 석재 또는 전(塼)으로 쌓아올려 망루(望樓)와 포루(砲樓)의 역할을
할수있도록 만들어진 높직한 누대(樓臺)를 말함.
 
참고로 돈대의 형태는 원형과 방형 2가지가 있으며, 내부에는 2~3단의 마루를 만들고
외부를 향한 벽면에 각 층마다 작은 안혈(眼穴)을 내어 대포·총·화살을 쏠수 있도록 하였으며
돈대 설치의 기록은 조선시대 문헌〈남한지 南漢志〉에 인조(1623~49 재위) 때 수축된
남한산성에 2기의 돈대가 설치되었다는 기록과 1679년(숙종 5) 병조판서 김석위(金錫胃)의
건의에 따라 강화에 53개소의 돈대가 설치되었는데, 여지도서 輿地圖書〉에
그 명칭과 위치가 그려져 있다.


 

그후 1678년(숙종 4)에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가 건립되면서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을 뿐만 아니라

근래까지 대규모의 중수 불사(佛事)가 이루어지며 현재와 같은 대규모의 사찰이 되었으며

1912년 일제강점기 때 강화·개성 등 6개군에 있는 34개 사찰을 관리하는

조선불교 30본산의 하나로 승격되었다 하는 이 절의 뒤편에 있는 정족산의 삼랑성은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고 하여 신성시되고 있다 한다.


 

또한.전등사대웅전(조선 중기), 보물 제178호기둥의 네 귀퉁이 위에는

추녀를 받들고 있는 인물상이 조각되어 있는 점이 특이한데 이 상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즉 광해군 때 이 법당을 지었던 도편수(都片手)에게는 사랑하는 여인이 있었으나
그가 불사(佛事)에만 전념하는 사이 다른 남자와 눈이 맞아 도망을 가버리자
도편수는 식음을 전폐하고 일을 하지 않다가 마음을 고쳐먹고
법당을 다시 짓기 시작했는데 기둥 위에 여인의 나체상을 조각하여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또 머리 위에는 무거운 지붕을 얹어 고통을 줌으로써 자신을 배반한 여인에게
복수했다는 내용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