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동산행기(1)

11.10.09. 하늘벽이 받치고있는 용의전설깃든 산-용화산

최윤영(연산동) 2017. 6. 20. 12:36

 

 

* 용 화 산 정상석

 

 * 시여골 계곡의 단풍을 배경으로 ~

용 화 산 (878 m) - 11.10.09.

 

강원 춘천 사북. 화천 간동.

산행거리 : 큰고개-만장봉-정상-858봉-삼거리-시여골-휴양림-양 통

산행거리 : 약 8 km. (산행시간 : 5 시간)

산행인원 : 13 명. (청파 윤도균님. 연산동*유니님. 파랑새*패랭이님. 소나무*지혜님.

                           바람님.케빈님. 노재범*엄옥희님. 노인자님. 윤희순님.)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하남면과 춘천시 사북면의 경계에 걸쳐

산은 높지 않으나  정상 주위가 암벽으로 이루어져 산새가 빼어나고

산 주변으로 춘천호. 소양호 와 파로호. 의암호 등 

산과 강을 함께 즐길수 있으며 계곡이 울창하고 원시림이 잘보존되어

청청함을 간직하고 있어 예부터 화천지역 정신적 영산으로 여겨져 오며

해마다 용화축전 시 산신제를 지내는 용 화 산.

 

용화산의 유래는 지네와 뱀이 싸우다가 이긴 쪽이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 갔다는 전설에서 기원하며

삼국시대 이전 맥(貊)나라의 왕이 피신을 왔다는 이야기도 전해지며

옛부터 성불사 저녁 종소리와 용화산의 안개와 구름, 기괴한 돌,

원천리 계곡의 맑은 물, 부용산의 밝은 달, 죽엽산의 단풍, 구운소의 물고기 등 

화천팔경이라 불리고 있는 용화산 으로

 

우리산내음 일요산행 13인의 발걸음이 큰고개에 멈추어 서있다

 

(준령 북쪽에 성불령이라는 고개가 있고 여기에 성불사 터가 있다.)


 * 춘 천 역 사

 

* 화천에서 도로를 따라 올라선 큰고개의 끝지점.

* 큰고개 등산로 입구

* 산행전 공터에서 단체로 ~

 

* 남 근 석 ?

* 큰고개에서 올라선 첫 능선 암봉의 노송 (양통 전망대)

* 만 장 봉

* 만장봉 뒤로 하늘벽과 촛대봉 (용암봉)

 

* 등로옆 숲속의 기암 (발가락 바위 ?)

* 촛 대 봉 (용암봉 ?)

 

* 만 장 봉 정상

* 만장봉 정상의 화강암 너럭바위길

 

* 만장봉 정상에서 바라본 양통마을

* 바위 이름이 있던데 ? 

 

 

* 촛대봉 위 암봉에서 바라본 만장대 전경

* 촛대봉 정상

 

* 촛대봉을 배경으로 (청파님의 photo 에서)

* 득 남 바 위(일명. 불알바위)

* 858 m 봉

* 공터에서 정상으로 오르는 숲 계단 길.

 

* 정상석을 배경으로

* 정상 숲속 풍경

* 정상 팻말

* 정상 표지석에서 단체기념 촬영

 

 

 

* 입 석 대

 

* 입석대 좌측끝의 독수리 바위 ?

* 우 산 송

* 하산길도 암 능선을 ~

 

* 솥 뚜껑 바위 ?

* 이 바위가 마귀할멈 바위인가 ?

 

* 득 남 바 위 (일명. 불알바위)

 

 

 * 주 전 자 바위

옛부터 이 마을 사람들은 가뭄이 들면 개를 잡아 주전자 부리 밑에서 기우제를 지내왔는데

개의피를 주전자 부리에 바르고 돌아서면 곧 비가 오기때문에 비옷을 미리갖추고 기우제를

지내러 갔다고 한다. 개의 피로 바위를 적신다고 해서 이 기우제를 '개적심'이라고 부른다.

 

 

 

 

 

 

 

 * 고탄령과 양통의 갈림길 표지판

 * 삼거리에서 잠시 휴식을 ~

 

 * 삼거리 갈림길에서 양통으로 하산중

 * 시여골 계곡의 단풍 (다음주면 절정을 이룰듯)

 

 

 

 

 

 

 

 

 

 

 

 * 시여골 계곡 단풍나무를 배경으로 ~

 

 

 

 

 

* 고탄령 하산길과 합수지점

* 하산길에 돌아본 용화산 전경

* 귀경길 밤 줍기 체험.

 

* 의암호를 배경으로 산행의 끝을 마무리 하면서 ~

 

* 의암댐이 내려다 보이는 뒷풀이 식당

 

 

 

* 용화산 산행을 함께 하셨던 모든 분들 수고 하셨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