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11

08.12.경기옛길평해길-제8길 고래산길

※ 고래산 임도구간 위치 표지판 경기옛길 평해길-제 8길 고래산길 21.08.12. (함께하고 싶은 이와 떠나는 특별한 여정. 동행의 길) 도보구간 : 석불역(스탬프함)- 전양고개입구-하수처리시설-망미1리-백운정사-고래산 임도입구- 임도쉼터-임도출구-구둔역(페역사-스탬프함)-일신역 도보거리 ; 약 11.8km (실 km)/약 4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중앙선 일신역(누리호17:09출/경-3.100원)-청량리 고래산길은 동화 속 그림 같은 역사의 모습을 지닌 석불역에서 출발합니다. 망미리 마을회관을 지나 만나게 되는 고래산 임도길은 아무도 없는 고요함을 느끼며 자연의 소리를 음미할 수 있기 때문에 색다른 경험을 가져다 줄 것입니..

경 기 옛 길 2022.02.06

05.02.경기옛길평해길-제7길 지평향교길(2)

※ 지평리 전투기념관 전시물 중에서 ~ ※ 지 평 향 교 경기옛길 평해길-제 7길 지평향교길 21.05.02. (민족의 흔적과 마주하는 역사의 길) 도보구간 : 2차 / 지평역-지평향교(스탬프함)-지평리지구전투기념관-지평관아터-지평의병발상지- 지평면사무소-햇골마을-동원농장-배미산능선-석불역(스탬프함) 도보거리 ; 약 10.0km (실 15km)/약 3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석불역 (용문역에서 석불역에 14시 도착 열차시간이 17:14분 출발이여서 다시 지평까지 걸어와 운좋게 버스로 용문도착 전철로 ~) 평해길 제7길은 용문역에서 시작되어 지평을 거쳐 석불역으로 이어지는 길입니다. 지평은 고구려시대부터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였던 지역입니다..

경 기 옛 길 2022.02.06

05.02.경기옛길평해길-제7길 지평향교길(1)

※ 천년시장 안 조형물 경기옛길 평해길-제 7길 지평향교길 21.05.02. (민족의 흔적과 마주하는 역사의 길) 도보구간 : 1차 / 용문역-용문천년시장-용문면사무소-그루고개-지평역 도보거리 ; 약 10.0km (실 15km)/약 3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석불역 (용문역에서 석불역에 14시 도착 열차시간이 17:14분 출발이여서 다시 지평까지 걸어와 운좋게 버스로 용문도착 전철로 ~) 평해길 제7길은 용문역에서 시작되어 지평을 거쳐 석불역으로 이어지는 길입니다. 지평은 고구려시대부터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였던 지역입니다. 일제의 침략과 저항의 역사를 담고 있는 지평의병과 조국 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지평전투는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 의..

경 기 옛 길 2022.02.06

04.15.경기옛길평해길-제6길 거무내길(2)

※ 흑 천 징검다리 경기옛길 평해길-제 6길 거무내길 21.04.15. (시간이 머무른 계 정취가 시작되는 낭만의 길) 도보구간 : 2차 / 원덕역 (스탬프함)-딸기농장-벚꽃길구간-삼성1리마을회관-수진원농장 물소리길인증대-백산교-체육공원(징검다리)-다문리개발지구-용문역 도보거리 ; 약 17.7km/약 5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용문역 거무내길은 강변도로의 버드나무 숲을 지나 도심에서 자연으로의 여정이 시작되는 길입니다. 검은 물빛의 흑천길을 걷다보면 자연에 동화된 자신을 느껴볼 수 있습니다. 흑천은 냇물바닥에 있는 검은색돌에 의해 물빛이 검게 보인다 하여 흑천이라 불려졌고, 이 때문에 인근 마을은 거무내마을로 오랫동안 불려졌습니다. 코스 ..

경 기 옛 길 2022.02.06

04.15.경기옛길평해길-제6길 거무내길(1)

※ 남한강 천주교 순교성지 ? 경기옛길 평해길-제 6길 거무내길 21.04.15. (시간이 머무른 계 정취가 시작되는 낭만의 길) 도보구간 : 1차 / 양평역-용문전통시장-갈산공원-벗꽃길구간-현덕교 양평해장국거리-대명리조트-원덕초교-원덕역 (스탬프함) 도보거리 ; 약 17.7km/약 5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용문역 거무내길은 강변도로의 버드나무 숲을 지나 도심에서 자연으로의 여정이 시작되는 길입니다. 검은 물빛의 흑천길을 걷다보면 자연에 동화된 자신을 느껴볼 수 있습니다. 흑천은 냇물바닥에 있는 검은색돌에 의해 물빛이 검게 보인다 하여 흑천이라 불려졌고, 이 때문에 인근 마을은 거무내마을로 오랫동안 불려졌습니다. 코스 자체는 평탄한 길이..

경 기 옛 길 2022.02.06

04.13.경기옛길평해길-제5길 물끝길/양근나루길(2)

※ 양평 랜드마크 오스타 코아루 BLD ※ 물안개공원 고 산 정 경기옛길 평해길-제 5길 물끝길(양근나루길) 21.04.13. (청정자연의 설레임을 느낄수있는 힐링의 길) 도보구간 : 2차 / 아신역-강변길-옥천삼거리-덕구실육교-들꽃수목원- 양근성지-물안개공원-양근천-양평역 도보거리 ; 약 14.2km/약 4시간 3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양평역 물끝길(양근나루길)은 신원역에서 양평역까지 남한강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힐링로드입니다. 양근나루는 서울 마포나 뚝섬에서 실은 새우젓을 양근나루에 내려 육로를 통해 강원도 홍천이나 횡성까지 마차로 실어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물길이 끝나고 육로교통이 시작되는 곳으로 사람과 물자, 문화를 연결해주던 양평 ..

경 기 옛 길 2022.02.06

04.13.경가옛길평해길-제5길 물끝길/양근나루길(1)

※ 양평 기곡 아트터널 입구 ※ 기곡 아트터널 내부 경기옛길 평해길 - 제 5길 물끝길(양근나루길) 21.04.13. (청정자연의 설레임을 느낄수있는 힐링의 길) 도보구간 : 1차 / 신원역-토끼굴입구-도곡터널-북포천-국수역-북포1리마을회관- 원복터널-기곡터널-아신갤러리-아신역 도보거리 ; 약 14.2km/약 4시간 3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양평역 물끝길(양근나루길)은 신원역에서 양평역까지 남한강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힐링로드입니다. 양근나루는 서울 마포나 뚝섬에서 실은 새우젓을 양근나루에 내려 육로를 통해 강원도 홍천이나 횡성까지 마차로 실어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물길이 끝나고 육로교통이 시작되는 곳으로 사람과 물자, 문화를 연결해주던 양..

경 기 옛 길 2022.02.06

04.08.경기옛길평해길-제4길 두물머리나루길(2)

※ 한음 이덕형 신도비 ※ 몽양 여운형 선생 생가 경기옛길 평해길 - 제 4길 두물머리길(운길산역/양수역) 21.04.08. (두 강이 만나 하나가 됨을 느끼는 치유의길) 도보구간 : 2차 / 양수역-가정천-부용리-한음이덕형신도비(스탬프)-목왕리)-샘골고개-신원리- 몽양여운형생가(기념관)-신원역 도보거리 ; 약 15.2km/약 5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신원역 ※ 두물머리나루길은 팔당호와 어우러진 경관이 아름다워 드라마촬영 및 사진촬영지로 자주 이용되며, 많은 관광객이 붐비는 곳입니다. 두물머리는 남한강과 북한강 두 물이 머리를 맛댔다 하여붙여진 이름으로, 한자로는 이두수(二頭水), 양수두(兩水頭), 병탄(竝灘)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

경 기 옛 길 2022.02.06

04.08.경기옛길평해길-제4길 두물머리나루길(1)

※ 두물머리 나루터 표지석 ※ 세미원 입구 배다리 경기옛길 평해길 - 제 4길 두물머리길(운길산역/양수역) 21.04.08. (두 강이 만나 하나가 됨을 느끼는 치유의길) 도보구간 : 1차/운길산역-양수리환경생태공원-두물머리-배다리입구(스탬프)-세원입구-양수역 도보거리 ; 약 15.2km/약 5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신원역 ※ 두물머리나루길은 팔당호와 어우러진 경관이 아름다워 드라마촬영 및 사진촬영지로 자주 이용되며, 많은 관광객이 붐비는 곳입니다. 두물머리는 남한강과 북한강 두 물이 머리를 맛댔다 하여붙여진 이름으로, 한자로는 이두수(二頭水), 양수두(兩水頭), 병탄(竝灘)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이름과 모습이 여..

경 기 옛 길 2022.02.06

04.04.경기옛길평해길-제3길 정약용길

※ 다산 정약용 선생 묘비 경기옛길 평해길 - 제 3길 정약용길. 21.04.04. (마음으로 즐기는 아름다운 경관, 상심낙사의 길) 도보구간 : 팔당역-팔당터널-팔당댐-능내삼거리(스탬프)-생태공원-정약용유적지- 마재성지-구 능내역-조안리-운길산역 도보거리 ; 약 12.9km/약 4시간 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운길산역 정약용길에서는 남양주 대표 자원들을 한자리에서 마주할 수 있습니다. 팔당댐을 시작으로 실학박물관, 다산생태공원, 능내리를 지나 운길산역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한강의 정취를 제대로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다산 정약용의 삶의 공간이었던 고향 마재마을을 거닐며, 그의 마음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평해길 제 3길 정약용길 출발점 ※..

경 기 옛 길 202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