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3코스 능묘가는길 표지목
* 성공회 강화성당 입구
강화나들길 3코스 고려왕릉 가는길 -18.03.27. (온수공영주차장-가 릉)
도보구간 : 온수공영주차장-성공회온수성당-길정저수지-길직1리 마을회관-이규보묘- 곤 릉-석 릉-가 릉-가릉주차장 도보거리 : 약 16.2 Km (탐방시간 : 5시간30분 예상/실 4시간30분 소요) 교 통 편 : > 2호선 합정역5번출구 중앙버스승강장 (좌석2000번 화도직행)-온수리 하차 < 탑재삼거리 (일반버스 700-1번) -마전역하차(인천지하철2호선)-검암역 * 소요시간 1시간20분. 교통카드 환승 가능.
* 전등사의 고즈넉한 풍경소리를 들으며 개성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왕릉과 왕비릉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능묘가는 길
* 온수리 공영주차장
* 제 3코스 출발점 (CU마트 옆)
* 온수리 거리풍경
* 성공회 온수성당
* 강화 온수리성공회 성당
성공회성당은 1906년 영국인 주교 조마가(Mark N. Trollope)가 지은 우리나라의 초기 서양 기독교 교회양식의 건물이다. 대한성공회는 16세기 종교개혁 때 분리된 영국성공회의 한국교구로, 예배와 풍습은 가톨릭과 다르나 교리와 관행은 가톨릭적인 교회이다. 대한성공회의 역사는 1889년 코프가 초대 한국 주교로 영국에서 서품을 받음으로써 시작되었다. 대한성공회에서는 강화성공회 성당을 먼저 건립하였고, 이어 온수리 성공회성당이 건립되었다. 온수리 성당은 정면 3칸, 측면 9칸의 팔작집이다. 지붕의 정면과 후면의 합각부 위, 용마루 양끝에는 십자가가 장식되어 있어서, 이곳이 전통양식의 건물구조를 한 기독교 계열의 건물임을 알수있게 한다
* 온수리성공회 본당
* 성공회 사제관
* 신 성공회 건물
* 200년 수령의 보호수 느티나무
* 강남중 강화학생 체육관
* 길정저수지 갈림길
* 길정 저수지 제방
* 길직 1리 마을회관
* 이규보 묘 안내판
* 이규보 선생 고려의 문신이자 문장가인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1168∼1241) 선생의 무덤이다. 고려의 무신정권 하에서 태어나 무신정권에 적극 협력했던 문인의 한 사람으로, 1191년(명종 19)에 진사시에 합격한 후 최충헌(崔忠獻)에게 발탁되어, 여러 관직을 거쳐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
* 이규보 묘
* 소나무숲을 나서기전 잠시 휴식을 ~
* 연등 국제선원
* 나들길 흙집
* 다담원 건물을 통과하니 주의요함.
* 효 자 교
* 예비군 훈련장
* 해나무 정류장
* 곤릉으로 오르는 길.
* 곤 릉
고려 제22대 강종의 비 원덕태후 유씨(元德太后 柳氏)의 무덤이다. 원덕태후는 종실 신안후(信安候) 성(珹)의 딸로 왕실 동성을 피하기 위하여 유씨라 하였으나 누구의 성을 따랐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유씨는 1212년(강종 1)에 왕비로 봉해졌고 연덕궁주(延德宮主)라 하였으며, 고려 23대 고종의 어머니이다. 이후 원덕태후로 추존되었고, 1253년 정강(靖康)의 시호가 더해졌다. 곤릉은 전체적으로 3단으로 되어 있다. 봉분과 석축, 곡장(曲墻)은 붕괴되고 석조물은 없어진 채 폐허가 된 것을 1974년 보수, 정화하였다.
* 권 능 교 회
* 말라버린 샘터
* 석릉을 오르는 게단
* 석 릉
고려 21대 희종(熙宗, 재위 1204∼1237)의 무덤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1237년(고종 24) 8월에 희종이 57세로 법천정사(法天精舍)에서 승하하자 낙진궁(樂眞宮)으로 옮겨졌으며, 10월에 덕정산(德政山) 남쪽 석릉에 장례를 지냈다.’ 고 기록되어 있다. 희종은 1204년에 신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최충헌이 권력을 남용하자 1211년 내시 왕준명(王濬明) 등과 함께 최충헌을 죽이려다가 실패하였다. 이로 인해 최충헌에 의해 폐위당하여 강화로 쫓겨났다가 이어 용유도로, 교동도로 옮겨졌다가 1219년 귀양에서 풀려나 개경으로 돌아왔다
* 소나무 숲길
* 진달래 군락
* 진 강 정
* 강화 능내리 석실분.
* 가 릉
고려 제24대 원종의 비 순경태후 김씨(順敬太后 金氏)의 무덤이다. 순경태후는 최씨 무인집권자 최우의 사위인 김약선의 딸로서 1235년(고종 22) 원종이 태자가 되자 태자비인 경목현비가 되었으며, 다음해에 충렬왕을 낳고 사망하였다. 1262년(원종 3) 정순왕후로 추대되고 아들인 충렬왕이 즉위(1274)하여 순경태후로 높여졌다. 가릉은 강화에 있는 왕릉과는 달리 지상식 석실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석실의 전면에는 유리벽을 설치하여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 진 강 산
* 제 3코스 도착점 / 제 4코스 출발점 - 가릉 주차장
* 탑재 삼거리 버스승강장.
* 3코스 출발전 전등사를 둘러보지 못하였기에 도착점에서 완주도장을 찍고 전등사로 가기위해 버스를 타고오다 정류장을 지나쳐 할수없이 다음 4코스 출발전에 잠시 들러보기로 하였기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