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길후기(종합)

19.1.07. 고양누리길 8코스-경의로 누리길

최윤영(연산동) 2019. 1. 9. 11:19



 


* 풍산역 무궁화로 사거리의 조형물


* 평심루를 배경으로 인증 샷.


양 누리길 8코스 -19.01.07.
(정발산역-황룡산입구)


도보구간 : 정발산역-평심루-밤가지초가-풍산역-일산역-탄현역-일산동고-황룡산입구

도보거리 : 약 7.2Km( Km) 탐방시간 : 2시간 예상(실 3시간 소요)

도보인원 : 연 산(한용수).청 파(윤도균).연산동(최윤영).파랑새(박인선).

                    안영환님.김용섭님.물안개님. 운 해님.

교 통  편 : < 지하철 3호선 정발산역 3번출.  

                >안곡초교 (71번)-풍산역(경의중앙선)

               ※ 9코스 도착후 교통편임



옛 애인과 걷고 싶은 경의선 철길
일산 도심 대표적 산인 정발산과 경의선을 따라 조성한 코스이다.
정발산공원의 평심루에 올라 도심을 한눈에 내려다 볼수있고,
이어서 조선시대의 개성과 경기도 서해안 지방의 가옥 양식인 밤가시 초가,
그리고 전통 재래시장인 일산시장을 다녀 올 수 있다.
1906년 건설될 당시 용산에서 신의주를 연결했던 경의선을 따라 녹지대가 4km 이어지고
고봉누리길(황룡산)과 연결된다.

* 정발산역 3번출구



* 고양누리길 8코스의 출발점

* 호수공원으로 가는 육교


* 우측의 줄기가 아닌 뿌리가 붙어있는 연리근


* 고양지역의 평안과 안녕을 바란다는 뜻의 평 심 루.



* 평심루 한쪽의 스탬프 함.







* 무슨 뜻인지 아시죠 -양심불량자는 누구일까 ?


* 일산 밤가시 초가

* 밤가시 초가 입구

* 민속 전시관



* 일산 밤가시 초가 안내판


정발산 북쪽 기슭에 위치한 이 초가는 조선후기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전통적인 서민 농촌주택의 구조를 원형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집은 약 150년 전에 건립 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ㄱ'자형 안채를 중심으로 행랑채가

맞은편에 대칭으로 지어져 있어 전체로 볼 때 '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지붕의 형태가 또아리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소박하면서도 튼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가옥의 주요목재는 기둥, 대들보, 중방,

문틀, 마루, 서까래 등에 이르기까지 밤나무로 재목을 쓴 것이 특징이다.

150년 된 밤가시 초가는 서민들의 생활사, 즉 온돌과 외양간, 아궁이 등의

한국 특유의 생활사를 엿볼 수 있는 곳이다.
※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8호 (1991년 10월 19일 지정)









* 풍산역으로

* 풍 산 역

* 풍산역앞 사거리의 조형물


* 가로공원의 조형물



* 경의중앙선 철로를 따라서 ~


* 일 산 역





* 탄 현 역

* 태극기가 부착된 배낭을 모델삼아 ~

* SBS 탄현 제작센터

* 일산동고등학교


* 고봉누리길 황룡산 입구


* 에 필 로 그

신년들어 첫행보가 이런저런 이유로 고양누리길 8-9코스로 

정해짐에 따라 그동안의 게으름을 피던 때와 달리 여유있게 서두르며 나선것이

 한 시간씩이나 일찍 부지런을 떨며 새해 첫출발부터  내가 왜이럴까 싶은 생각이지만

 기다리는 동안 시간에 맞추어 도착한 8인의 만남으로 덕담을 나누고


정발산역을 출발 고양시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한다는 평심루에 올라

스탬프와 단체로 인증샷을 찍고 조선후기 전통적인 서민 농촌주택인 밤가시 마을의

초가집을 둘러보고 풍산역에서 일산역. 그리고 탄현역에 이르는 경의선 철길옆

 가로수공원 숲길을 따라  8코스 누리길을 벗어나며 황룡산 초입에서

 9코스 고봉누리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