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기 옛 길

4.30.경기옛길 의주길의 마지막길 - 제5길 임진나루길

최윤영(연산동) 2019. 5. 1. 14:13



* 임진각 입구 조형물


* 화 석 정


경기옛길 의주길 - 제 5길 임진나루길. 19.04.30.

(철조망 넘어 통일의 염원을 담은 길 )

 

도보구간 : 선유삼거리-이세화선생묘-화석정-임진나루마을-낚시캠핑공원-

               장산전망대-장산 1리마을회관-임진강역-임진각

도보거리 ; 약 13.8km/약 4시간 (실 시간 )

교 통  편 : <지하철2호선 홍대앞역-경의중앙선 문산역(92번버스)-선유리시장앞 하차

               >임진각버스정류장 (58번)-문산역하차-경의중앙선(홍대앞 하차)




철조망 너머 통일의 염원을 담은 길!
화석정은 조선의 대학자였던 율곡 이이가 유년시절과 여생을 보냈던 곳으로
그와 얽힌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내려오는 곳이기도 합니다.
임진나루는 화석정 근처에 있는 나루로 임진강 이편과 저편의 옛 의주대로를 잇는
길목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철조망으로 가로막혀 임진각 이북으로는
길을 이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의주길은 임진각으로 길을 이었습니다.
이제는 분단의 상징이 된 임진각에서,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이어지는
의주길의 꿈과 평화를 기원해 봅니다.


* 의주길 4길(도착점)5길(출발점)교통편 이용시 선유시장 정류장이 용이함.

* 선 유 시 장

* 5길 출발점 옆. 철교를 확인하니 예전 미군부대를 통과하던 다리였으나 기금은 미사용중 임. 

* 제5길 임진나루길 안내판


* 의주길 제5길 출발점 독서(선유)삼거리.

* 삼거리전 좌측 실개천 다리 끝에서부터 출발 ~ 


* 실개천을 따라 도로와 만나는 지점 (이솝어린이집)


* 이세화선생 묘소앞 정류장

* 이세화 선생 묘소는 다리를 건너 마을길 따라 0.9km들어감.

* 마을길에서 우측으로 들어서면 홍살문 이 ~



* 이세화 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제60호)

조선 숙종 때의 문신으로 청백리인 쌍백당 이세화(1630~1701) 선생의 묘소입니다.

청백리란 청렴결백한 관리에게 국가가 내린 표창을 말합니다.

1657년(효종 8) 문과에 급제하여 평안도, 황해도,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고

인현왕후를 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주로 유배되었습니다.

이후 다시 조정에 올라 공조·형조·병조·예조·이조판서를 두루 거쳐 지중추부사를

역임하다 세상을 떠났으며, 조정에서는 충신의 상징인 정문을 고향에 세우고

영의정의 관직을 내렸습니다.


* 이세화 선생과 부인 묘소

* 다시 돌아나와 도로를 따라 화석정로 좌측으로 따라갈것

* 예담요양병원 좌측에 장례식장도 있음.


* 화석정 캠핑장 입구를 지나 계속 갈것

* 도로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

* 마을 도로를 따라 갈것

* 화석동 경로당

* 이곳에서 좌측으로 ~ (직진은 율곡습지 방향 임.)


* 화석정 앞 식당과 카페.

* 화석정 오름계단.

* 화 석 정 전경


* 화 석 정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1호)

율곡 이이(1536~1584)가 자주 들러 시를 짓고 명상을 하며 학문을 연구하던

 곳으로 임진강이 굽어보이는 강가에 있습니다. 이 지역은 고려말  대학자 야은 길재가

 살았던 곳으로 조선 1443년(세종 35)에 율곡의 5대 조부인 이명신이

처음 정자를 지었으며, 1478년 (성종 9) 이숙함이 화석정이라 이름 지었습니다.

이 지역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율곡은 관직에서 물러난 후 이곳에서

제자와 벗들과 함께 학문을 논하기도 하였습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후

1673년(현종 14)에 율곡의 후손들이 다시 지었으나,

한국 전쟁 때 불에 타 없어졌습니다


* 화석정 앞에서 ~

* 파주 임진8경 안내판

* 화석정에서 바라본 임진강과 전진교.


* 화 석 정 詩


* 八歲賦詩 (율곡 선생이 8세때 화석정에 올라 지은 詩)  

      林亭秋已晩 騷客意無窮 숲속정자에 가을이 이미 깊으니 시인의 생각이 한이 없어라
          遠水連天碧 霜楓向日紅 먼물은 하늘에닿아 푸르고 서리맞은 단풍은 햇빛받아 붉구나  

山吐孤輪月 江含萬里風 산은 외로운 달을 토해내고 강은 만리 바람을 머금는다
          塞鴻何處去 聲斷暮雲中 변방 기러기는 어디로 가는가 저녁구름 속으로 사라지는 소리 


* 화석정 입구의 스탬프 함.

* 화석정 매점

* 화석정을 떠나면서 ~ (이곳부터 평화누리길과 중복구간 임.)


* 율 곡 교

* 차도옆 임진강 전망 테크 길.

* 임진나루 뱃사공 이야기 안내판

* 임진리 나루터 마을 입구

* 임진리 마을버스 정류장.

* 대우 콘크리트 공장

* 임진나루 마을 입구

* 낚시캠핑공원 (오토캠프장) 입구


* 장산 전망대 갈림길



* 장산 전망대

* 임진강 위에 떠있는 섬 초평도 (이곳에서는 육지처럼 보이나 뒤쪽으로 강이 있음)

* 장산리로 내려서는 산길도로

* 산길도로 끝 삼거리에서 직진할것 (데크길은 평화누리길 방향)

* 도로를 따라 계속 직진할것



* 장산 1리 마을회관


* 데크길의 끝에서 직진할것 (우측길은 평화누리길 임.)

* 장 산 교


* 과수원에서 음악을 들으며 피는 사과나무꽃.


* 우측 건물은 진사랑 요양원

* 도로에서 마정4리로 우회전.-정류장 지나서 다시 좌회전 할것.

* 마을의 보호수 느티나무 (수령 460년)

* 마정 3리 마을회관

* 마정초등학교

* 마정 3리 입구에서 우회전


* 대전차 방어벽

* 마을 도로의끝 통일로.

* 통 일 로

* 통일로에서 우측도로 아래 농로를 따라가다 ~

* 좌측의 굴다리를 지나 다시 농로를 따라 ~

* 통일로 다리밑 우측으로 올라서면 ~


* 임 진 강 역


* 마 정 교

* 임진강 낚시터

* 버마 아웅산 순국외교사절 위렬탑

* 새 천년의 장


* 6.25참전 기념비

* 헤리에스 트루만 像과 미국군 참전기념비.


* 민족정기 헌정탑


* 망 배 단



* 임진각, 자유의 다리 (경기도 기념물 제162호)

통일안보 테마공원인 임진각은 군사분계선에서 불과 7km 떨어진 곳입니다. 

자유의 다리는 1953년에 건설된 다리로 임진강의 남과 북을 잇는 유일한 통로였습니다.

원래는 경의선 철교였지만 하행선 철교를 도로교로 개조하였습니다.

1953년 휴전협정 이후에 한국군과 유엔군 포로 1만 2,773명이 자유를 찾아

귀환한 다리라고 해서 ‘자유의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독개다리 입구

* 평화 의 종각



* 에 필 로 그

4월이 지나기전에 경기옛길 의주길 제 5구간 임진나루길 계획을 세우고

예정보다 늦은시간에 배낭을 챙겨 홍대입구 역에 도착하면서

운좋게 급행을 타게되어 여유있게 문산역에 내려서니 평화누리길 교육을

떠나는 분들과 우연히 만나 잠시 인사를 나누고 선유시장 에

  도착하여 의주길 마지막 구간인 제 5길입구로 들어서며 실개천을 따라서 

지나칠수 없는 이세화선생 묘소를 둘러보고 화석정로를 걷다

  마을길을 벗어나며 연초록 색으로 물들어가는 느티나무 계단을 올라서니

 평화누리 반구정길의 추억이 스쳐 지나는 화석정을 둘러보며

  스탬프와 인증샷을 찍고 평화누리길과 중복되는 임진나루 마을을 지나서

  장산 오름길에 평화누리길 반구정길을 걷고 계신 여회원님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산길도로를 따라 장산전망대에 올라서니 훈련중인

     군인들과 오토캠프를 즐기는 차량이 점거하고 있는 정상에서

    지난주 민통선내 생태체험길을 걸으면서 전망대에서 마주했던 강건너의 

     초평도를 굽어보고 다시 돌아나와 장산리로 내려서서 삼거리

   평화누리길과 갈라서며 도로를 따라서 장산 1리 마을회관 앞에 도착하여

     장산교를 건너 마정리로 넘어서며 계속 걷다보니 마정초교를

   지나 대전차 방어벽을 벗어나면서 통일로 끝 지점에 도착 도로옆 농로를

     따라 임진강역으로 다가섰다 마정교를건너 임진각 입구 각종

  조형물을 차례로 둘러보며 자유의 다리와 망향단과 평화의 종을 끝으로

      관광안내소에 들러 마지막 스탬프를 찍는 것으로 돌아서는데

     

      4월의 마지막을 경기옛길 의주길과 함께 끝낼수 있어 얼마나 다행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