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blog/1957AA554E0196951B)
* 신선봉 정상 표지석 ![](https://t1.daumcdn.net/cfile/blog/175CF0554E01969A14)
* 산행에 앞서 단체 기념촬영 두타산 신 선 봉 -11.06.19. 강원 동해 삼화 산행구간 : 삼화사-마당바위-관음암-신선바위-토 굴-하늘문-신선봉-쌍 폭-용추폭포 -학소대-삼화사 산행거리 : 약 8 km. ( 산행시간 : 약 4 시간 ) 산행인원 : 우리산내음 일요 산행팀 29명. " 계곡은 무릉계요 폭포는 용추폭포 와 쌍폭 " 이라 는데 높고 깊은 산을 보려면 두타산 과 청옥산 으로 가라 했듯이 태백산맥의 한줄기로 뻗어 내려 연봉을 이루며 장대한 산줄기가 영산의 신비로움 마져 느끼게 하는 산자락 곳곳에 기암괴석과 폭포가 어우러져 계곡에 흐르는 옥수의 골짜기가 천하 의 비경을 이루고 속세의 번뇌를 버리고 불도의 수행을 닦는다는 뜻의 두 타 산. 신비로운 산세에 멋진 조망까지 더해지는 깍아지른 암벽이 노송과 어울려 무너질듯 계곡물과 어울려 깊은 골을 이루며 아름다운 산수의 풍경이 중국 고사에 나오는 무릉도원 같다하여 호암소로 부터 용추폭포까지 4 km 에 이르는 계곡을 조선 선조때에 삼척부사 김효원이 이름 붙였다는 무 릉 계 곡. (고려 충렬왕때 이승휴가 중국 무릉도원과 같은 선경이라 하여 무릉계라 함) 명산의 덕목을 갖춘 두타산에 감추어진 또 다른 절경을 찿아 3 년전 폭우로 인하여 계곡 입구에서 발길을 돌려야 했던 아쉬움이 있기에 이번 만큼은 하늘문을 들어서서 신선봉의 비경을 찿아 시원한 폭포와 절경을 이루는무릉반석의 아름다운 무릉도원으로 일요산행팀과 함께 찿아들고 있다. * 3년전 발길을 돌려야 했던 무릉계곡 입구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34A554E0196A327)
* 산행준비를 마치고 ~ ![](https://t1.daumcdn.net/cfile/blog/134F20554E0196A530)
![](https://t1.daumcdn.net/cfile/blog/164AFA554E0196A739)
* 매표소를 지나 또하나의 개찰구를 통과 무릉계로 ~ ![](https://t1.daumcdn.net/cfile/blog/154A09554E0196A83A)
* 가뭄으로 인하여 계곡 물이 ~ ![](https://t1.daumcdn.net/cfile/blog/174F24554E0196AA29)
* 두타산 삼화사 일주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1761FA584E0196AB03)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C5F584E0196AC13)
* 조선조 명필 양사언의 석각 "무릉선원 중대천석 두타동천" ![](https://t1.daumcdn.net/cfile/blog/164FA1584E0196AE29)
* 금 란 정. 1945년 서생계원과 자손들이 선인의 뜻을 받들어 계남 심지황 생가 근처에 건립한 정자로 1958년 무릉계곡으로 이전 하였음.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C66584E0196AF11)
![](https://t1.daumcdn.net/cfile/blog/124E76584E0196B12D)
* 해 탈 교 ![](https://t1.daumcdn.net/cfile/blog/155D41584E0196B20F)
* 삼화사 천왕문 (하산시 탐방예정) ![](https://t1.daumcdn.net/cfile/blog/174FAF584E0196B326)
![](https://t1.daumcdn.net/cfile/blog/14658B554E0196B405)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CF4554E0196B615)
![](https://t1.daumcdn.net/cfile/blog/165F74554E0196B712)
* 마당바위에 올라 ~ ![](https://t1.daumcdn.net/cfile/blog/136518554E0196BB07) * 건너편의 산성 12 폭포 와 ~![](https://t1.daumcdn.net/cfile/blog/175E74554E0196B813) * 청옥산 정상을 조망하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CD5554E0196BA35)
![](https://t1.daumcdn.net/cfile/blog/155A79554E0196BC19)
![](https://t1.daumcdn.net/cfile/blog/1873C3534E0196C036)
* 관음암 입구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E17534E0196C118)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F93534E0196BF14)
* 관음암 석 탑.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AE0534E0196BD28)
* 관 음 암 관음암은 두타산 삼화사 의 유일한 산 내 암자로 고려 태조4년 (921) 용비 스님에 의해 지조암으로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암자이다. 그 후 이곳에 모신 관음보살 상의 영험함이 계속 되어 이를 계기로 1959년 관일 스님에 의해 관음암 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89D534E0196C22D)
![](https://t1.daumcdn.net/cfile/blog/110234534E0196C311)
* 관음암에서 마주보이는 두 타 산 성.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FB7534E0196C414)
* 관음암 고목나무 아래서 단체 기념촬영.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484584E0196C61B)
![](https://t1.daumcdn.net/cfile/blog/12580E584E0196C71B)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B40584E0196CA14)
* 신 선 바 위 (일명 변기바위 ?) ![](https://t1.daumcdn.net/cfile/blog/125BF0584E0196C915)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835584E0196CB1C)
* 두타 에서 청옥으로 이어지는 박달령 능선.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446544E0198EE17)
![](https://t1.daumcdn.net/cfile/blog/1941F5544E0198F437)
* 토 굴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91B544E0199082A)
![](https://t1.daumcdn.net/cfile/blog/1652D5544E01990E1D)
![](https://t1.daumcdn.net/cfile/blog/165A0C544E0199110E)
![](https://t1.daumcdn.net/cfile/blog/155C98544E01991308)
* 하늘문으로 내려서는 철계단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22E544E0199141E)
* 하늘문 입구의 석 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136748554E0199160B)
* 피마름골로 내려서는(하늘문) 300여 철계단 ![](https://t1.daumcdn.net/cfile/blog/196640554E0199170F)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0C8554E01991931)
* 하 늘 문 임진왜란때 전사자들의 피가 많이 흘렀다 하여 이름 붙여진 피마늘골에서 끝이 보이지 않는 90도에 가까운 경사에 300개가 넘는 계단이 하늘로 통하는 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2000년 12월 개설되 이전의 이 하늘문은 관음암에서 암굴로 향하는 등산로로 크게 마음 먹어야 드나들수 있었던 위험한 길이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6C44554E01991A02)
* 하늘문 암봉 ![](https://t1.daumcdn.net/cfile/blog/17534A554E01991B33)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8FC554E01991C25)
* 피마름 골. ![](https://t1.daumcdn.net/cfile/blog/184547554E01991D3E)
* 문간재 갈림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F015A4E01991F18)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BBF5A4E01992021)
* 문간재로 오르는 마지막 철 계단. ![](https://t1.daumcdn.net/cfile/blog/1704C65A4E0199210D)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D445A4E0199231B)
* 숲속에 자리한 광개토대왕비.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D115A4E0199251D)
![](https://t1.daumcdn.net/cfile/blog/177D9C5A4E0199261B)
* 어느 망인의 돌 무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7C265A4E0199271D)
* 신선봉 정 상. ![](https://t1.daumcdn.net/cfile/blog/18464B544E0199282F)
* 신선봉 정상에서 단체로 ~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80D544E01992A13)
![](https://t1.daumcdn.net/cfile/blog/123174564E019AAD26)
![](https://t1.daumcdn.net/cfile/blog/194FF3544E01992C23)
* 문 간 재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4BB544E01992D2E)
* 장군바위 뒷사면 ![](https://t1.daumcdn.net/cfile/blog/155446544E01992F19)
![](https://t1.daumcdn.net/cfile/blog/155C98544E01993009)
* 장 군 바 위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98C544E0199310F)
* 병 풍 바 위 ![](https://t1.daumcdn.net/cfile/blog/156805554E0199320B)
* 선 녀 탕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A79554E01993325)
* 쌍 폭 포 두타산에서 청옥산에 이르는 능선 밑에서 발원하여 통수골과 박달골을거쳐 흘러내린 물과 청옥산에서 부터 고적대에 이르는 능선 밑에서 발원하여 바른골로 흘러 내린 물이 사원터를 지나 합치는 곳에 있는 폭포. ![](https://t1.daumcdn.net/cfile/blog/2065C6554E01993611) * 바른골로 흘러 내린 물이 사원터를 지나 합치는 곳에 있는 폭포. ![](https://t1.daumcdn.net/cfile/blog/166556554E01993413)
* 통수골과 박달골을거쳐 흘러내려 합치는 곳에 있는 폭포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D7E544E019BC416)
* 가뭄으로 인하여 물 이끼가 낄정도로 폭포의 수량이 적어 소 가 들어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80D544E019BC722)
* 용 추 폭 포 (하탕) ![](https://t1.daumcdn.net/cfile/blog/13622B544E019BC80A)
* 용 추 폭 포 청옥산에서 부터 갈미봉에 이르는 능선 밑에서 발원하여 바른골로 흘러 내린 물이 상. 중. 하. 셋으로된 3단 폭포로서 하탕 폭포 밑은 둘레가 약 30 m 나 되는 깊은 소 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E09544E019BCA15)
* 발 바 닥 바위. 용추폭포 앞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추폭포 철다리 위에서 쳐다 보면은 발가락 모양의 바위형상이 드러난다. 만물상 중에서도 발가락이 선명한 바위가 압권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4D3E544E019BC01D)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976544E019BCB14)
![](https://t1.daumcdn.net/cfile/blog/135F5D544E019BCC11)
* 두 타 산 성 들머리 ![](https://t1.daumcdn.net/cfile/blog/13095A534E019BCE0F)
![](https://t1.daumcdn.net/cfile/blog/180206534E019BCF2A)
* 학 소 대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DB6534E019BD032)
* 학 소 대 상류의 동굴에서 흘러 내리는 물줄기가 이곳을 흘러 내리는데 이바위에 학이 둥지를 틀고 살았다 하여 학소대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F0A534E019BD127)
* 삼 화 사 전 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19040D534E019BD21F)
* 삼 화 사 신라 선덕여왕 11년(642)에 자장율사가 두타산에 이르러 흑연대를 창건한 것을 시초로 범일국사가 삼공암 이라는 암자를 세우고 고려 태조때 삼화사라 개칭 하였다 함, ![](https://t1.daumcdn.net/cfile/blog/180E3A534E019BD403)
* 보물 제1277호 삼층석탑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F93534E019BD52B)
![](https://t1.daumcdn.net/cfile/blog/144E77594E019BD71E)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7A8594E019BDA0B)
![](https://t1.daumcdn.net/cfile/blog/1750E9594E019BD81A)
* 무 릉 반 석 석장 또는 석장암으로 지칭 하기도 하였던 이곳 무릉반석은 5천 평방미터나 되는 넓은 반석이 펼쳐지는 것이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끼게 하며 주변의 기암괴석과 함께 천하절경을 이룬다. 반석 위에는 이곳을 찿은 명필가와 묵객등이 음각하여 놓은 여러 종류의 글씨가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4772594E019BDB28) ![](https://t1.daumcdn.net/cfile/blog/194D27514E02C7360C)
![](https://t1.daumcdn.net/cfile/blog/173D4E514E02C73B28)
![](https://t1.daumcdn.net/cfile/blog/124CE4594E019BDD26)
* 두타산 신선봉 산행에 함꼐 하셨던 모든 분들 수고 많이 하셨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