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동산행기(1)

2013.01.02.01. 나홀로 광명4산 신년산행-서독/가학/구름/도덕산

최윤영(연산동) 2017. 6. 21. 18:49

 

 

* 가 학 산 정상의 정자

 

* 구름산 정상에서

 

* 도덕산 정상의 정자.

 

광명 4산 종주 

서독/가학/구름/도덕산 -13.02.01.

 

 경기 광명. 시흥.  

 산행구간 : 안서초교-군초소-폐광터-서독산-도고내고개-가학산-가학광산-장절리삼거리-

                 구름산-가리대광장-한치고개-도덕산-중앙하이츠

 산행거리 : 약 12km (산행시간 : 약 6시간)

 교 통  편 : 지하철1호선-개봉역1번출.11번(안양행)-안서초교 하차

 산행인원 : 나 홀로

지난 년말부터 무었이 그리 빠쁜지 ~ 아니. 게을러져서 인지

유난히 신년들어 많은 눈이 내리고 있지만 남들처럼 눈산행 한번 제대로 못하며

눈팅만 하다가 가학산 폐광산을 문화공간으로 개발하였다 하기에

가까운 광명 3산이나 후딱 돌아보고 가학광산 탐방이나 해볼까 싶은 마음에

배낭하나 덜렁메고 안서초교 에서  종주 산행의 첫발을 내딛는데

 

5년전 인가 ? 한번 다녀온적이 있기에 그때의 기억을 되살려

군부대 철책선을 따라 군초소를 지나고 폐광터 페어글라이딩장을 지날때까지

쌓여있는 눈을 밟으며 암능선을 지나 도노개 고개로 내려서니

예전과 달리 넓어진 길이 자칫 서독산 정상을 놓칠뻔 ~ 이정표를 보고서

서독산 정상에 올라 새롭게 설치한 전망대에서 나홀로 인증샷 ~

 

가학광산과 정상으로 오르는 서독산 갈림길에서 잠시 주춤 

가학산 정상에 올라서니 가학정이란 정자가 세워져 있고 전망대도 공사중인 

정상에서 흰 연기를 뿜어내는 소각장을 마주하고 영당정 갈림길

계단을 내려서니 가학광산 갈림길 이정표가 유혹 하는데 이곳까지와서

그냥 지나칠수도 없고. 광산까지 다시 돌아갔다 와야 하는데 ~ 

 

가학산이 이렇게 아름다울줄 몰랐다는 정상에서 만났던

등산객의 이야기가 무슨 의미였을까 ? 싶기도 하여 "백문이불여일견"이라

발길을 돌리고 보니 너덜겅 위로 눈앞에 펼쳐지는 웅장한 바위.

가학동굴로 내려서는 데크 계단과 광산의 흔적이 옛 모습 그대로 인데

동굴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해 3월말까지 개방을 중단 한다나 ~

 

동굴 탐방은 다음으로 기약하고 정상 등로 확인을 위해

길게 뻗은 데크 계단을 올라서니 밑에서 바라보던 웅장한 바위 정상인듯

그냥 지나쳐 버렸으면 볼수 없었을듯 싶은 바위 전망대 위로

정상으로 오르는 통천문이 반기며 암굴로 들어섰다 동굴을 벗어나니

또 다른 데크 전망대와 바위봉의 풍경이 김탄. 또 감탄이다.

 

때로는 순간의 결정이 옳았다고 느낄때의 기분이랄까 ?

3월이후에 다시 오겠노라 다짐하고 정상을 목전에둔 전망대를 오르기전

좌측 샛길로 들어서서 가는 동안 또 하나의 볼거리 폐광산이

예전에 들렀던 곳이지만 잊고 있었는데 이곳에 있었다니 반가울수가

사실은 폐광산을 개발하였다고 할때 이곳인줄 알었는데 ~

 

유독 볼거리가 많았던 가학광산의 갈림길로 원점회귀 

장절리 삼거리에서 산허리 감도는 둘레길 같은 숲길을 따라가는 동안

구름산 돌계단 오름길에 갑자기 힘이 빠지며 주저앉고 싶은 ~

잠간 다녀온다고 생수한병 준비도 없이 작은 보온병에 커피만 갖고

나섰기에 욕심이 화를 부리지 않을가 걱정이 앞서는데.

 

구름산만 오르면 종주산행을 끝낼수 있겠다는 마음이

용기를 북돋은 탓일까 ? 잠시후 멀리서도 잘보이던 "운 산 정" 정자가

마중하는 정상에 올라서서 흔적을 남기고 주위를 살피는데

한치고개위로 육교가 신설되어 구름산과 연계산행이 가능하다는

도덕산이 손짓 하는데 물 한모금. 먹거리조차 없이 ~

 

하산을 서두르며 능선을 따라 산불감시초소 정자에서

가리대광장 쉼터로 내려서니 도덕산이 못내아쉬워 또다시 갈등이 ~

어디에서 용기가 솟구칠까 내친김에 도덕산까지 4산 종주 ?

앗 뿔사. 다시 우회 돌밭길을 돌아서 가도 도덕산까지 약 4.1 km.

그래. "가다가 중지 곳하면 아니간만 못하리라".

 

새로 신설된 한치고개육교를 건너 광명수돗물 정수장

철책옆 둘레길을 따라 오르 내리며 한참을 돌아 밤일육교를 지나고

충주 평씨 묘지를 지나친후 밤일분기점 도덕산 능선부터

몸을 가누기 힘들정도로 지친 무거운 발걸음으로 도덕산 정상

"도 덕 정" 정자에 올라서며 종주의 끝을접고 있다.

 

* 서 독 산 (270 m)

광명시 최남단의 산으로 옛날 많은 선비들이 이산에 올라 책을 읽었다 하여 서독산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서덕산. 청덕산 이라고도 한다. 

이곳의 폐광터는 1903년5월2일 일본 동경거주 반전구일랑이 한국정부로 부터

채광권을 허가받아 반전시흥광산으로  53만5천평에서 금.은,동.연.아연을 채굴.해방후

한국인 허 익이위임받어 시흥광산으로 87만평에 이르렀으나 1985년에 폐광 되었음.

 

* 산행의 들머리 안서초교 입구

 

* 군 부대 철책을 따라 ~

 

* 곳곳에 눈이 쌓인채 녹지않은 등로를 따라 ~

 

* 찰책의 끝부분에 위치한 군 부대 초소

* 군부대를 벗어나며 암능선길이 ~

* 고속철 K T X 광명역사.

* 능선상의 고인돌 ?

* 폐광터의 패러글라이딩 장소

 

* 폐 광 터

 

 

* 도 고 내 고개

* 서독산 정상으로 오르는 길목

* 서 독 산 정상 전망대

 

* 정상 전망대에서 인증샷

 

 

* 서독산을 벗어나며 ~

* 서독산과 가학산 경계의 안내판

 

* 가 학 산 (220 m)

 

가학동.일직동.노온사동.소하동에 걸쳐 있으며,광명시에서 둘째로 높은 해발 220m의 산이며

구름산과 서독산 사이에 솟아있는 이 산은 국립 지리원 발행 지형도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구름산과는 능고개를,서독산과는 도고내고개를 사이에 두고

솟아있는 독립된 산으로 산세는 동쪽으로 오리동 계곡이 발달되어 있는 반면,

서쪽으로는 크게 두 산줄기가 뻗어 있다.

 

* 가학산 정상과 가학광산의 서독산 갈림길

 

* 가학산을 오르며 돌아본 서독산 정상

* 가학 쓰레기 소각장 ?

 

* 가 학 산 정상

* 새롭게 신축중인 정상의 가 학 정.

* 정상아래 구름산 길목의 영당정 갈림길

 

* 영당정 갈림길을 내려서며 가학광산을 지나칠수 없어  폐광터 입구 아래의  

   가학광산 갈림길로 되 돌아가는 길옆 정상아래 웅장한 바위와 너덜구간.

 

* 가학광산 갈림길 (정상으로 오르는 통나무 받침계단)

* 가학광산 동굴로 내려서는 데크 계단.

* 광부들의 숙소로 쓰였던 곳인듯 싶은데 ?

 

 

* 가학광산동굴 입구 (새롭게 단장중 이므로  3월31일까지 개방중단)

* 가학광산동굴 갈림길위 전망대로 ~

* 큰바위 위인듯 싶은 바위 전망대

* 정상으로 오르는 암굴입구. 통천문 ?

* 암굴 통로 내부

 

* 암굴을 벗어나 전망대로 오르는 데크계단

 

* 가학산 정상밑의 전망데크 (왼쪽으로 가면 또다른 폐광터가 나옴)

* 또 다른 폐광터 입구

 

* 폐광터를 벗어나 영당정 갈림길 아래 가학광산 갈림길로 원점회귀.

* 구름산으로 가는 길목의 장절리 갈림길 (우측으로 진행)

 

 

구 름 산 (237 m)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해발 237m의 나즈막한 구름산(운산, 雲山)은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의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일명 아방산이라고도 하며,

안양에서 제2경인고속도로를 따라 인천쪽으로가다 광명터널 직전 우측으로

산위의 정자를 볼수있는 산이다. 원래 아방리에 소재한 산이라 해서 아방봉 이라 불렀는데

조선 후기에 구름속까지 산이 솟아 있다고 해서 구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구름산으로 오르는 돌계단

 

* 구름산 정상의 정자

* 구름산 정상 이정표

* 구름산 정상의 운산정

 

 

]* 구름산 정상에서

 

* 구름산 전망대 산불감시 정자. 

* 마지막으로 가야할 광명 도 덕 산.

 

* 가리대 광장 하산길 계단

* 가리대 광장 이정표

* 가리대 광장에서 직진하면 광명보건소로 하산  3산종주로 끝내려 하였으나

   산 욕심을 억제치 못하고 구름산 우회길(돌밭길)을 따라 한치고개로 되돌아 도덕산으로 ~ 

* 구름산 우회길 돌밭길

* 구름산 갈림길에서 한치고개로 ~

]

* 도 덕 산 (198 m)

 

광명시 광명동,철산동,하안동 일대에 걸쳐있는 산으로 남쪽 표고 198m의 독립봉으로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측되는 토석혼축(土石混築)의 산성터가 남아있다.

퇴미형의 석축산성터(둘레약 700m)는 한강유역 전체를 굽어볼 수 있는 위치이며,

옛날 사신들이 이 산봉우리에 모여 도(道)와 덕(德)에 대한 의견을 자주 교환했다고 하여

<도덕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 한치고개로 내려서며 마주한 수돗물 정수장

 

* 한치고개에서 도덕산으로 이어지는 한치고개 육교통로.

 

* 이곳에서 부터는 정수장을 끼고 돌아가는 둘레길이 ~

 

* 또 다른 동물 통로겸 육교인 밤일육교.

 

* 밤일육교에서 돌아본 구름산 전경.

 

* 밤일 갈림길

 

* 도덕산 능선의 밤일분기점

* 도 덕 산 정 상

* 도덕산 정상의 도 덕 정.

* 광명시 아파트지역 뒤로  천왕산 능선을 줌으로 ~

* 하산길의 쉼터 정자

* 도덕산 정상아래 공원에 위치한 인공폭포

* 공원내의 야외음악당

* 중앙 하이츠 아파트 뒤 공원을 벗어나며 광명 4산 산행을 접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