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길따라 떠나는 문화체험 포스터
※ 1회차 참석자 기념촬영
경기옛길 봉화길 - 문화체험 제 1길 덕풍천길.
(역대 조선왕조의 실록과 왕실족보인 선원보가 이운되던 길)
행사일시 : 11월 22일 (금) 10:00 남한산성역사문화관
1부(10:00-11:00) 남한산성의 노래 / 옛길따라 부르는 노래 / 소 음악회
(강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민경찬 명에교수/성악가 바리톤 황주석.소프라노 김승희.)
2부-(11:00-16:00) 봉화길 1길 덕풍천길 도보
도보구간 : 남한산성역사문화관-산성로타리-북 문-고 골-덕풍천 샘재사거리-광주향교(스탬프)
메타쉐콰이어길-당정뜰-산곡천- 은방울공원(스탬프)
도보거리 : 약 13 km (실 15km) / 시간:4시간 40분(실 5시간 분) -강연및 휴식시간 포함 별 의미없음
교 통 편 : < 지하철 7호선강남구청역(환승)-분당선 복정역 8호선(환승)- 산성역(9번버스)-남문터널
> 하남검단산역 2번출- 지하철 2호선 군자역(7호선 환승)
※ 남한산성 역사문화관 (11월 1일 개원)
※ 오늘 행사 종합안내 부스
※ 경기문화재단 경기옛길센터 홍보 부스
※ 1부 행사인 문화체험 강연및 성악 콘서트 장소 (역사문화관 강당)
※ 주 제 : 남한산성의 노래 강연과 옛길따라 부르는 노래.
※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민경찬 교수 님.
※ 소프라노 김승리. 바리톤 황주석 님.
※ 1부 강연과 콘서트가 끝나고 ~
※ 2부 행사인 봉화길 걷기위해 명단 확인후 기념품을 받고 ~
※ 각 조별로 나뉘어 정렬
※ 출발에 앞서 트레킹 메니져 님의 주의사항을 듣고 ~
※ 출발전에 내가 속한 1조 팀 ~
※ 출발에 앞서 전체 기념촬영
※ 배웅을 받으며 출 ~ 발
※ 산성 로타리를 향하여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조선시대의 산성으로 기원은 통일신라 문무왕 때 쌓은 주장성(672)의
옛 터를 활용하여 조선 인조 4년(1626)에 대대적으로 구축하였습니다.
서울의 중심부에서 동남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남한산성은 지형적으로 평균 고도
해발 480m 이상의 험준한 산세를 이용하여 방어력을 극대화한 곳으로,
둘레가 12km에 이르며 산위에 도시가 있을 수 있을 만큼 넓은 분지이기 때문에
백성과 함께 왕조가 대피할 수 있는 조선 왕실의 보장처 였습니다.
※ 행궁(한남루)을 마주하고 ~
※ 산성 로타리에서 북문으로 ~
※ 천흥사 동종(天興寺 銅鐘)
※ 북 문으로 ~
※ 트레킹 메니져님을 선두로 ~
※ 북 문 (전승문)- 싸움에 패하지 않고 모두 승리한다는 뜻의 '전승문(全勝門)
※ 전승문을 통과하고 ~
※ 고 골(광주향교 방향)로 내려서며 ~
※ 뒤 돌아본 전 승 문
※ 로프 난간길을 지나서 ~
※ 데-크 계단을 내려선후 ~
※ 철책길을 따라서 ~
※ 잠시 쉼터에서 쉬어가며 ~
※ 덕 풍 천 상류
※ 삼불 감시초소
※ 갈림길 좌측은 법화골(연자마)갈. 우측은 북문길 임,
※ 샘골입구 버스 정류장
※ 고 골로를 따라서 ~
※ 도보중에도 쓰레기를 줍킹 하시는 모습을 보며 ~
※ 덕풍천 징검다리
※ 덕 풍 천
※ 샘제입구 사거리 에서 좌측 횡단보도를 건널것
※ 광주 향교로 들어서며 ~
※ 봉화길 제 1길 광주향교 스탬프함
※ 중간 쉼터 (이곳에서 간식을 받고 휴식을 ~ )
※ 향교 입구의 표지석
※ 광 주 향 교
향교는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고 지방민을 교육 교화 하고자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현제는 교육은 하지않고 제사만 올리고 있다.광주 향교를 처음 지은 시기는
알수없으나 조선 숙종 29년(1703)에고읍 서쪽에 있던것을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행교의 가장 뒤쪽에는 제사공간인 대성전과 동무, 서무가 있으며 그 앞으로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동재. 서재가 있어 전형적인 전학후교 구성으로 배치되어 있다.
※ 대성전 등 공사로 인해 출입금지 임.
※ 광주향교에서 휴식을 취한후 다시 덕풍천을 따라 ~
※ 메타쉐콰이어 길
※ 1조 팀
※ 2조 팀
※ 3조 팀
※ 4조 팀
※ 잠시 쉬었다 다시 당정뜰을 따라 출발
※ 예 봉 산
※ 예 빈 산
※ 하남 랜드마크 유니온타워 전망대
※ 하남시 유니온 타워 전망대
하남유니온 파크는 지하에 환경기초시설을 갖추고 지상에는 시민편의 시설을 조성한
복합 환경공원이고 하남시의 랜드마크이자 환경교육의 장입니다.
하남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모두 이곳에서 처리되며 지역사회와 공존하는
친환경 시설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하남유니온 타워는 105m의 높이로 지상 2개층의
전망대에서 하남시의 전경을 감상할수 있습니다.
※ 당정뜰의 억 새.
※ 한강변의 고 니.
※ 팔 당 대 교
※ 산곡천과 합수점
※ 신곡교 밑을 통과
※ 도착점을 앞두고 기념촬영
※ 검 단 산
※ 신곡 2교에서 우측 으로 ~
※ 도착점인 은방울 공원
※ 봉화길의 출발점 안내판과 제 1길 당정뜰 스탬프 함.
올해는 지난 강화길 제 2길 "옛길에서 멘토를 만나다"를 끝으로 올해
경기옛길 행사가 끝났다 싶었는데 "옛길따라 만나는 문화체험" 봉화길 제 1길 걷기
프로그램이 4차에 걸쳐 진행한다는 공지를 확인 반가움에 1회차만 신청후
영하의 날씨속에 집을나서며 전철을 환승 산성역에서 버스로 남문터널 정류장에 내려서니
산성의 아침을 여는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스며드는 상쾌함으로 행사장인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으로 다가서니 행사부스가 차려지고 있기에 ~
새로 개원한 남한산성 역사문화관을 둘러본후 1부행사로 10시부터
민경찬 교수님의 남한산성의 노래.강연과 옛길따라 부르는 노래 소프라노 김승리.
바리톤 황주석의 소음악회 옛길 콘서트를 끝내고 2부행사로 명단확인후
조편성 카드와 기념품을받고 봉화길 1길 도보를위해 트레킹메니져의 주의사항을 들은후
각조별로 출발하며 북문을 통과해 로 프난간 길을따라 고골로 내려서며
데크길을 벗어나 샘골입구 정류장을지나 덕풍천과 고골로를 따라 ~
한참을 내려선후 샘재사거리에서 중간쉼터인 광주향교로 다가서며
스탬프를 찍은후 체크포인트에서 간식을받은후 휴식시간을 보내고 덕풍천을따라
계속이어지는 천변길을 따라가며 연신카메라를 눌러대며 메타쉐콰이어
길입구에도착 각조별로 사진을찍은후 벚나무 가로수길옆 억새가피어나는 당정뜰을 돌아
탐조대에서 고니를 관찰하고 산곡천을 따라오르다 도착점전 기념촬영후
산곡 2교에서 봉화길 1길 출발점인 은방울공원에 도착하고 있다.
'경 기 옛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눈이 내린후 대륙으로 향하는 첫 관문-의주길 제 1길 벽제관지길 (4) | 2024.11.29 |
---|---|
변덕스런 겨울비 속에 끝낸 마지막 경흥길 제 4길 파발막길 (1) | 2024.11.27 |
겨울채비에 들어선 천보산맥 경흥길 제 3길 축석고갯길 (2) | 2024.11.19 |
늦가을의 정취를 느낄수 있는 경흥길 제 1길 사패산길 (0) | 2024.11.16 |
경기옛길 5회차 강화길 금릉옛길-경기옛길 속 전통건축 이야기 (0)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