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둘레길 이벤트 포스터
※ '소사역 하역 노동자 동맹 파업지'
경기둘레길 55코스 항일운동 유적지 방문미션
도보구간 : 소사역 7번출-소사삼거리-신학대학-산림욕길-하우고개갈림길-배수지-성무정-활터공원-
성주로-이마트사거리(부평농민조합투쟁지)-자유시장잎-부천남부역(하역노동자파업지)
도보거리 : 약 6.29km / 탐방시간 : 약 2시간 20분
교 통 편 : 전철 1호선 소사역 / 서해선 7번 출구
전철 1호선 부천역 2번 출구
※ 54코스 일부구간 역방향으로 도보 (실 거리/시간 의미없음)
※ 소사역 7번출구
※경기둘레길 55코스 출발점 스탬프함
※ 경기둘레길 55코스 방향
※ 소 사 삼거리
※ 세종병원 입구 소사본동의 1000년 수령 은행나무
※ 서울신학대학 정문
※ 산학대학 경내로 따라 오르며 ~
※ 우측 차도를 따라서 ~
※ 복 천 (약수터 자리)
※ 우석 기념관 건물 좌측으로 ~
※ 부천둘레길과 중복구간인 들머리로 ~
※ 하우고개 능선 갈림길 (이곳에서 경기둘레길을 벗어남)
※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
※ 배수지 인듯 ?
※ 포장도로 끝 좌측 샛길로 ~
※ 이곳으로 내려설것
※성무정 (활터공원으로 내려서는 길)
※ 성 무 정
※ 활터 어린이공원
※ 활터 어린이공원에서 경인로전 사거리까지 직진할것
※ 심곡본동 이마트사거리 '부평농민조합 소작료 인하투쟁지' 안내판
※ '부평농민조합 소작료 인하투쟁지'
부평농민조합 소작료 인하 투쟁지는 조선인 소작인들이 부평농민조합을 조직하고
소작료 인하 요구 등을 관철시켰던 부평수리조합이 있던곳이다.
1927년에 지주들이 소작료를 대폭 인상하자 4.000여호의 소작인들이 10월 28일에
부평농민조합을 창립하고 대표위원 36명과교섭대표 3명을 선출해 부평수리조합 지주회에
소작료 인하등을 요구하여 이를 관철시켰다. 부평 농민조합의 활동은
경기지역에서 일어난 소작인 저항운동으로 이후 전개되는 농민단체 설립과
농민운동의 선구적 역활을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 부천 남부역 2번 출구 '소사역 하역 노동자 동맹 파업지' 안내판
※ '소사역 하역 노동자 동맹 파업지'
소사역 하역 노동자 동맹 파업지는 소사역 하역 노동자들이 일본 역장의
부당한 처사에 항거하며 동맹파업을 벌인 곳이다. 1927년 9월 23일에 일본인 역장으로 부터
배를 사다 달라는 부탁을 받은 하역 노동자는 마침 화물열차가 도착 하였으므로
우선 하역을 하고 나중에 배를 사다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역장은 자기 심부름부터 먼저
안했다는 구실로 인부의 빰을 때리고 발길질을 하였다. 이에 분개한 소사역 하역 노동자 5명은
다음날 역장의 징계를 요구하며 동맹 파업을 일으켰다. 소사역은 1899년에
경인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문을 열었는데 1973년에 부천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펄벅여사와 어린이 조형물
※ 부 천 역 사
올해 광복 80주년기념 경기둘레길과 함께하는 이벤트 행사의 하나로
항일운동유적지를 방문 독립운동의 발자취를 따라 걸어보는 미션을 수행하기위해
경기둘레길 55코스에 인접해있는 ' 부평 농민조합 소작료 인하 투쟁지' 와
'소사역 하역 노동자 동맹 파업지'를 둘러보기위해 지하철 1호선 소사역에 내려
7번 출구에 위치한 경기둘레길 54코스 도착점이자 55코스 출발점
스탬프함 앞에서 철길통로밑을 지나 소사사거리로 발길을 옮기며 54코스
역방향으로 찿어가기로 하고 세종병원 입구 소사본동의 1000년 수령
은행나무를지나 신학대학 정문을통과 우석기념관 건물좌측 부천둘레길 들머리로
들어서며 산림욕길 숲길을 따라올라 하우고개능선 갈림길에서 배수지옆
샛길로 내려선후 성무정과 어린이 활터공원으로 내려선후 경인로로 나서기 전
사거리에서 좌측 성주로를따라 심곡본1동 이마트사거리에 서있는
'부평 농민조합 소작료 인하 투쟁지' 안내판을 확인 인증샷을 남기고 나서
소사테마거리 경인로로 나선후 부천자유시장을 지나 부천남부역으로
다가서며 남부역광장안의 부천역 2번출구 옆에있는 펄벅여사와 어린이 조형물을
확인한후 택시승강장옆에 세워져있는 '소사역 하역 노동자 동맹 파업지'
안내판을 학인한후 인증샷을 남기면서 부천 항일운동유적지 두곳을 방문한후
미션을 수행하고 다시한번 남부역 광장을 둘러보면서 부천역으로 ~
(실. 두곳의 안내판을 지나치기 쉬우니 잘 확인 하여야 하니 참조바랍니다)
'경 기 옛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흥길 제 1길 사패산길에서 회룡사 둘러보기 (3) | 2024.12.28 |
---|---|
강화길 제 2길 금릉옛길 일부 구간 (0) | 2024.12.27 |
갑진년의 뜻깊은 마지막 도보길-강화길 제 4길 한남정맥길 (0) | 2024.12.19 |
사람과 문류. 문화가 모이던 곳- 강화길 제 3길 운양나룻길 (1) | 2024.12.16 |
임금의 효심이 깃든 어로(御路) 길-강화길 제 1길 천등고갯길 (0)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