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운호수 표지석 * 의왕시 현 충 탑 경기옛길 삼남길 - 제 3길 모락산길. 19.05.07.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향하던 길.) 도보구간 : 백운호수-임영대군묘-오매기마을-현충탑-사근행궁터(시청별관)- 의왕중앙도서관-골사그네-지지대비 도보거리 ; 약 13.6km/약 3시간 40분 (실 시간 ) 교 통 편 :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 2번출구(05번버스)-백운호수 하차 >골사그네정류장 (301번버스)-지하철 4호선 범계역하차 백운호수와 연결된 이 길은 세종의 넷째아들 임영대군의 묘역을 지나 모락산 동쪽으로 * 제 3길 모락산길 출발점 (백운호수 주차장) * 제 3길 모락산길 안내판 * 백 운 호 수 의왕시 학의동에 있는 백운호수는 1953년에 준공된 인공 호수입니다. 총 11만평에 달하는 백운호수는 북동쪽의 청계산과 남동쪽의 백운산,서쪽의 모락산이 주변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습니다. 백운호수는 본디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조성된 것이었지만 주변의 경관이 수려하고 각종 주차시설과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서 의왕시민의 휴양지로도 각광받고 있습니다. * 백운호수 둘레길 인도교 * 바 라 산 * 백운호수 버스정류장 방향으로 ~ * 도로에서 바라본 백운호수 데크길 * 백운호수 지하차도 (모락산터널 방향)를 지날것. * 도로옆 숲속의 스마일 바위 * 이곳부터 모락산 둘레길과 삼남 3길과 중복 구간임. * 임영대군묘 가는 길 * 고개를 넘어서서 우측길로 들어서면 제안부최씨묘 임. * 제안부최씨묘 임영대군 계실로 최승녕의 딸이며 대군과 슬하에 5남 2녀를 낳았으며 1473년(성종 4년)에 훙서 하였다 제안부부인은 정실인 남씨가 퇴출되자 계실로 출가하였다 * 임영대군 사당 * 사당을 내려서는 길목의 약수터 ~ * 연 못 * 임영대군묘 가는 길목의 스탬프함과 모락산마을 이야기 안내판 * 임영대군묘 입구 * 묘역 입구의 안내판 * 임영대군 묘 (경기도문화재자료 제98호) 세종대왕의 넷째 아들 임영대군은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세종의 신임을 받았습니다. 천성이 활달하고 무예와 의론(議論)에 뛰어났으며, 씀씀이가 근검하고 사람을 대하는 데 겸손하였다고 합니다. * 임영대군묘 전경 * 오메기 마을 가는 길 * 이곳 전봇대에서 좌측으로 ~ * 산중턱의 조경농장옆 숲속으로 ~ * 모락산 지능선 갈림길에서 오메기 마을로 ~ * 오 매 기 마을 본오매기마을은 용머리, 목배미, 사나골, 가운데말, 뒷골, 백운동 등의 작은 마을로 구성된 마을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오막동(五幕洞)’ 또는 ‘오마동(五馬洞)’ 이라고 불렸습니다. ‘오매기’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두 가지 유래가 내려옵니다. 먼저, 문화 류씨를 비롯하여 진씨, 노씨, 마씨, 문씨 등 5개 성씨가 각각 막을 지었고, 이것이 전부 5막(五幕)이어서 여기에서 ‘오매기’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마을의 산세가 5마리의 말이 각기 기수를 태우고 달리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오마동’이라 했다고도 전합니다. * 하트(Heart)나무 - 사랑을 기원하면 이루어 진다는 사랑나무. * 삼남길 오메기마을 이야기 안내판 * 오메기마을 입구 (이곳까지 삼남 3길과 중복 구간임) * 오메기 마을입구에서 우측도로를 따라 ~ * 지구천 어린이집으로 좌회전 ~ * 과천.봉담 도시고속화도로 굴다리 * 체육공원 사거리 * 왕곡초교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 * 왕곡시립어린이집 * 현 충 탑 * 현충탑 전경 * 사근행궁터 표지석 * 사 근 행 궁 터 현륭원으로 능행차를 떠난 정조 일행은 과천에서 하룻밤을 묵은 후 다음 날 점심나절에 이곳 사근행궁에 도착하게 됩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에 면사무소로 활용되기도 하는 등 오랫동안 의왕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의왕 지역의 3·1운동 역시 바로 이 자리를 중심으로 벌어졌습니다. * 행궁터의 만세시위지 안내판 * 스탬프함 뚜껑이 떨어져 있어 보수요함. * 시 청 별 관 * 좌측길로 나와서 건물우측 으로 돌아 육교를 건널것. * 경수대로 (의왕고천 지하차도) * 의왕경찰서 후문 * 시청앞 사거리 * 의왕시 중앙도서관 * 도서관을지나 마을을 한바퀴 돌아 도로를 건널것. * 도로를 건너 좌측으로 ~ * 고고리 마을의 유래 * 과천.봉담 도시고속화 도로 밑으로 ~ * 야구르트 입구 교차로. * 우측 자비정사 입구로 ~ * 자 비 정 사 * 골사그네 이가농원 입구 *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 * 식목일과 나무심기 이야기 안내판 * 박정희 대통령 식목일 기념 조림지 표지석. * 골사그네 분기점 사거리 (수원시와 의왕시 경계) * 제 3길 모락산길 안내판이 이곳에 ~ * 숲길 옆의 철탑 * 지능선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 * 수원의 허파 광교산 이야기. * 제 3길 모락산길의 도착점 지지대비. * 지지대비 안내판 * 지지대비 (경기유형문화재 제 24호) 현륭원을 찾은 정조가 이 고개에 이르렀을 때, 떠나는 길이 아쉬워서 자꾸 뒤를 돌아보느라 행차가 지지부진해졌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이 고개의 이름은 지지대고개가 되었습니다. * 지지대비 는 누각 안에 있음. * 지지대고개에서 오르는 계단 * 지지대고개 수원시 경계 표시탑 * 의왕시 경계 표시탑 * 버스정류장은 지지대 고개에서 의왕시방향 육교아래 있음. * 버스노선 참조 * 에 필 로 그 지난 인덕원길에 이어 제 3길 모락산길을 걷기 위해 백운호수 정류장에 도착하여 백운호수를 여유있게 돌아보고 임영대군 묘를 가기위해 모락산 터널길을 따라 오르는데 철쭉꽃길 숲속에 스마일바위가 웃음지게 하더니 모락산 둘레길과 임영대군묘 가는 삼남길구간이 중복되며 얕은 고개를 넘어서니 좌측은 사당이 있고 우측은 묘가 있기에 임영대군 묘인가 하고 다가서니 '제안부최씨"묘라 후에 알고보니 임영대군 둘째부인 최씨의 묘라는것을 확인 사당으로 내려서니 굳게닫혀 있어 주위만 둘러보고 내려서는 길목에 스탬프함과 모락산이야기 안내판이 서있어서 스탬프와 인증샷을 찍고 농가옆 돌계단 위로 올라서니 임영대군묘가 자리하고 있기에 예를올린후 내려서서 모락산 지능선을 넘어 오메기마을과 왕림마을 벗어나며 도시고속화도로 굴다리를 지나 아파트단지 사잇길 왕곡어린이집 옆에 위치한 현충탑을 참배하고 주택가내 위치한 사근행궁터를 찿어가면서 3.1운동 시위지이기도 햇던 사근행궁터와 안내판 그리고 스탬프함 앞으로 다가서니 뚜껑이 떨어져있어 스탬프를 찍고 잘닫어 놓은후 경수대로를건너 시청앞 사거리를 지나 중앙도서관 앞에서 고고리마을로 들어서며 마을을 벗어나 잠시 도로로 나섰다 자비정사를 지나며 골사그네 마을 산속길을 따라오르는 길목에 "박정희 대통령 식목일기념 조림지" 표지석이 놓여있는 지능선으로 올라서니 수원시 경계와 골사그네의 분기점. 수원둘레길과 중복 구간인 사거리에서 지지대로 향하면서 능선을따라 내려서니 지지대비 입구 제 3길 모락산길 도착점. 지지대비를 둘러보고 계단을 내려서며 옛 선비들이 과거를 보기위해 한양으로 향하던 길을따라 되돌아오고 있다 . |
'경 기 옛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2.경기옛길 삼남길 - 제 5길 중복들길 (0) | 2019.05.14 |
---|---|
5.10.경기옛길 삼남길 - 제 4길 서호천길 (0) | 2019.05.11 |
5.03.경기옛길 삼남길 - 제 2길 인덕원길 (0) | 2019.05.06 |
5.03.경기옛길 삼남길 - 제1길 한양관문길 (0) | 2019.05.04 |
4.30.경기옛길 의주길의 마지막길 - 제5길 임진나루길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