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동산행기(1)

10.11.24. 영봉으로불리는 신성스런산에-월악산

최윤영(연산동) 2017. 6. 19. 14:23

 

* 월 악 산  영봉 의 정상석.

* 월 악 산 정상

월 악 산 (1,097 m) -10.11.24.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산행구간 : 덕주사-마애블-945봉-송계갈림길-중봉갈림길-정상-중봉-하봉-보덕압-수산리

산행거리 : 약 12.5 km. (산행시간 : 약 6 시간)

산행인원 : 우리산내음 16명

                (청파 윤도균님, 연산동 최윤영, 산초스님, 칸보이님, 산까치님, 어슬렁님, 회나무님,

                양지편님,호계동님,수출맨님,청담*사당동님부부,백오동님,옹달샘님,하얀민들레님,)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과 덕산면의 경계를 이루며 예로부터 신령스런산으로 여겨져

"영 봉"이라  불리어지고 국사봉이라고도 불리어왔으며 산이 무너져 내릴 듯이

곧추 솟아 있다는 뜻으로 '와 락 산'으로 불리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거대한 암반으로

형성되어 험준하며 가파르기로 이름나 있는  월 악 산.

 

해발 1097 m의 영 봉은 암벽 높이가 150m, 둘레가 4㎞나 되는 거대한 암반으로

'충북의 알프스' 라는 칭송을 들을 만큼 암골미가 빼어나게 아름답지만

험준하며 가파르기로 이름나 있고 영봉을 중심으로 산줄기가 가파르게 뻗어 있어.

바위능선을 타고 영봉에 오르면 충주호의 잔잔한 물결과 산야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충주(청풍)호수와 백두대간의 산맥이 어우러져 장관이다.

 

또한, 월악산에는 마의태자와 그의 동생인 덕주공주의 전설이 ~

 

“월악산 난간머리 희미한 저 달아

 천년사직 한이 서린 일천삼백리 너는 아느냐

 아바마마 그리움을 마애불에 심어놓고

 떠나신 우리 님을 월악산아 ~ 월악산아 말 좀 해다오

 그 님의 소식을  금강산 천리 먼 길 흘러가는 저 구름아

 마의태자 덕주공주 한 많은 사연 너는 아느냐

 하늘도 부끄러워 짚신에 삿갓 쓰고 걸어온 하늘재를

 월악산아 월악산아 말 좀 해다오 그 님의 소식을”

 

(가요 ‘월악산’·주현미 노래 가사 중에서)

 

마의태자 일행이 신라 재건운동을 벌일 것을 두려워한 고려의 호족들이

마의태자는 미륵사에, 덕주공주는 북쪽 40리 밖 월악산 덕주사에 볼모로 가두었고,

미륵리 미륵불과 덕주골 덕주사의 마애불이 마주보고 서 있는 이유는

둘이 서로 바라보며 그리움을 달래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 송계리 덕주사 입구

 

* 덕주사로 오르는 길목

* 송계 탐방 지원센터

 

* 수 경 대

신라시대부터 월악신사를 설치하고 제천하던 곳으로 반석옆 부분에 수경대라 새겨져 있다.

주변의 넓은 암반이 자연의 소를 만들고 사철 맑은 물이 그위로 흐르며 주변의 노송이 그윽함을

더해 주는 절경이다.

* 덕 주 골 계곡 풍경.

 

* 동 문 (덕주루)

* 학 소 대

* 덕 주 산 성

 

* 덕 주 사 

신라 진평왕 13년(591년)에 창건했다는 덕주사는 원래 월악사라고 불렸는데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가 피신하면서 덕주사로 불렸다고 전해지며 원래의 위치는

보물 제406호인 마애블이 있는 자리였다고 한다.

* 대 웅 전

* 남 근 석

 월악산이 풍수학으로 볼때 음기가 왕성한 산 이기에

 생과 삶. 그리고 윤회의 진리를 채득한 우리 조상의 지혜로움이 웅축된 상징임.

 

* 산행의 들머리

 

 

* 덕 주 산 성

* 마애블로 오르는 통나무 받침 계단.

 

* 덕주공주와 마이태자의 전설이 깃든 마 애 블.

* 마애블을 배경으로 단체로 ~

* 극 락 보 전

* 영 봉 갈림길

* 영봉으로 오르는 첫 철 계단.

* 주흘 영봉을 줌으로 댕겨보며

* 철 계단 중간에 있는 암 굴 (비박 장소)

* 계속 이어지는 철 계단.

* 암봉위 노 송. 

 

* 암능을 따라 계속 이어지는 철 계단.

 

* 충주호와 하봉의 아름다운 풍경.

* 월 악 영 봉.

* 월악 영봉을 배경으로 단체 기념촬영.

* 962봉을 내려서는 길목

* 송계 삼거리

* 중 봉

* 수산리 방향

* 영봉으로 오르는 약 600 계단.

* 정상에서 바라보는 충주호 

* 신선봉. 마폐봉에서 포함산으로 이어지는 대간길.

* 중 봉 넘어로 가깝게 다가선 충주호

 

* 월악산 정상의 일행들 ~

* 월악산 정 상 석.

* 월악 영봉의 정상석을 배경으로 단체 기념촬영.

* 중봉에서 하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 만수봉으로 이어지는 월악 주 능선.

 

* 중봉에서 바라본 영봉의 뒷사면.

* 중봉으로 오르기전 쉼터에서 ~ 

* 월악산 하 봉.

 

 

* 디카 각도에 따라 새롭게 발견한 한반도 형태의 충주호.

 

 

* 통 천 문

* 하산길의 시루떡 바위. 또는 책 바위 ?

 

* 산행의 날머리 보덕암으로 내려서는 계단.

* 보덕암 대웅전.

* 보덕암 미륵불 ?

* 물방아 목 탁.

* 한수면의 월형산 ?

 

 

 

* 수산리 보덕암 공원 지킴터를 내려서며 ~ 

 

* 시작버튼을 누르면 음악이 나옵니다.



 

* 월 악 산  영봉 의 정상석.

* 월 악 산 정상
월 악 산 (1,097 m)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산행구간 : 덕주사-마애블-945봉-송계갈림길-중봉갈림길-정상-중봉-하봉-보덕압-수산리
산행거리 : 약 12.5 km. (산행시간 : 약 6 시간)
산행인원 : 우리산내음 16명
                (청파 윤도균님, 연산동 최윤영, 산초스님, 칸보이님, 산까치님, 어슬렁님, 회나무님,
                양지편님,호계동님,수출맨님,청담*사당동님부부,백오동님,옹달샘님,하얀민들레님,)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과 덕산면의 경계를 이루며 예로부터 신령스런산으로 여겨져
"영 봉"이라  불리어지고 국사봉이라고도 불리어왔으며 산이 무너져 내릴 듯이
곧추 솟아 있다는 뜻으로 '와 락 산'으로 불리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거대한 암반으로
형성되어 험준하며 가파르기로 이름나 있는  월 악 산.
 
해발 1097 m의 영 봉은 암벽 높이가 150m, 둘레가 4㎞나 되는 거대한 암반으로
'충북의 알프스' 라는 칭송을 들을 만큼 암골미가 빼어나게 아름답지만
험준하며 가파르기로 이름나 있고 영봉을 중심으로 산줄기가 가파르게 뻗어 있어.
바위능선을 타고 영봉에 오르면 충주호의 잔잔한 물결과 산야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충주(청풍)호수와 백두대간의 산맥이 어우러져 장관이다.
 
또한, 월악산에는 마의태자와 그의 동생인 덕주공주의 전설이 ~
 
“월악산 난간머리 희미한 저 달아
 천년사직 한이 서린 일천삼백리 너는 아느냐
 아바마마 그리움을 마애불에 심어놓고
 떠나신 우리 님을 월악산아 ~ 월악산아 말 좀 해다오
 그 님의 소식을  금강산 천리 먼 길 흘러가는 저 구름아
 마의태자 덕주공주 한 많은 사연 너는 아느냐
 하늘도 부끄러워 짚신에 삿갓 쓰고 걸어온 하늘재를
 월악산아 월악산아 말 좀 해다오 그 님의 소식을”
 
(가요 ‘월악산’·주현미 노래 가사 중에서)
 
마의태자 일행이 신라 재건운동을 벌일 것을 두려워한 고려의 호족들이
마의태자는 미륵사에, 덕주공주는 북쪽 40리 밖 월악산 덕주사에 볼모로 가두었고,
미륵리 미륵불과 덕주골 덕주사의 마애불이 마주보고 서 있는 이유는
둘이 서로 바라보며 그리움을 달래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 송계리 덕주사 입구

 

* 덕주사로 오르는 길목

* 송계 탐방 지원센터

 

* 수 경 대
신라시대부터 월악신사를 설치하고 제천하던 곳으로 반석옆 부분에 수경대라 새겨져 있다.
주변의 넓은 암반이 자연의 소를 만들고 사철 맑은 물이 그위로 흐르며 주변의 노송이 그윽함을
더해 주는 절경이다.

* 덕 주 골 계곡 풍경.

 

* 동 문 (덕주루)

* 학 소 대

* 덕 주 산 성

 

* 덕 주 사 
신라 진평왕 13년(591년)에 창건했다는 덕주사는 원래 월악사라고 불렸는데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가 피신하면서 덕주사로 불렸다고 전해지며 원래의 위치는
보물 제406호인 마애블이 있는 자리였다고 한다.

* 대 웅 전

* 남 근 석
 월악산이 풍수학으로 볼때 음기가 왕성한 산 이기에
 생과 삶. 그리고 윤회의 진리를 채득한 우리 조상의 지혜로움이 웅축된 상징임.

 

* 산행의 들머리

 

 

* 덕 주 산 성

* 마애블로 오르는 통나무 받침 계단.

 

* 덕주공주와 마이태자의 전설이 깃든 마 애 블.

* 마애블을 배경으로 단체로 ~

* 극 락 보 전

* 영 봉 갈림길

* 영봉으로 오르는 첫 철 계단.

* 주흘 영봉을 줌으로 댕겨보며

* 철 계단 중간에 있는 암 굴 (비박 장소)

* 계속 이어지는 철 계단.

* 암봉위 노 송. 

 

* 암능을 따라 계속 이어지는 철 계단.

 

* 충주호와 하봉의 아름다운 풍경.

* 월 악 영 봉.

* 월악 영봉을 배경으로 단체 기념촬영.

* 962봉을 내려서는 길목

* 송계 삼거리

* 중 봉

* 수산리 방향

* 영봉으로 오르는 약 600 계단.

* 정상에서 바라보는 충주호 

* 신선봉. 마폐봉에서 포함산으로 이어지는 대간길.

* 중 봉 넘어로 가깝게 다가선 충주호

 

* 월악산 정상의 일행들 ~

* 월악산 정 상 석.

* 월악 영봉의 정상석을 배경으로 단체 기념촬영.

* 중봉에서 하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 만수봉으로 이어지는 월악 주 능선.

 

* 중봉에서 바라본 영봉의 뒷사면.

* 중봉으로 오르기전 쉼터에서 ~ 

* 월악산 하 봉.

 

 

* 디카 각도에 따라 새롭게 발견한 한반도 형태의 충주호.

 
 

* 통 천 문

* 하산길의 시루떡 바위. 또는 책 바위 ?

 

* 산행의 날머리 보덕암으로 내려서는 계단.

* 보덕암 대웅전.

* 보덕암 미륵불 ?

* 물방아 목 탁.

* 한수면의 월형산 ?

 

 

 
* 수산리 보덕암 공원 지킴터를 내려서며 ~ 
 
[월악산/주현미]

월악산 만간머리 희미한저달아
천년사직한이서린
일천삼백리 너는 아느냐
아바마마 그리움을 마애불애 심어놓고
떠나신 우리님을
월악산아 월악산아 말좀해다오
그님의 소식을 ~

금강산 천리먼길 흘러가는 저구름아
마이타자 독주공주
한만은 사연 너는 아느냐
하늘도 푸르러워 짚신에 삿갓쓰고
걸어온 하늘재를
월악산아 월악산아 말좀해 다오
그님의 소식을~


엠알 반주 듣기

* 시작버튼을 누르면 음악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