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13

경기옛길 강화길 제4길-한남정맥길

※ 통진향교 묘정비 ※ 홍예문(아문)과 문수산성 경기옛길 강화길 제 4길 - 한남정맥길 (통진성당입구-강화대교) 도보구간 : 통진성당입구(버스정류장)-두레문화센터-옹정리-포내2교-군하리삼거리-통진향교(스탬프함)- 군하비석-김포국제조각공원-구름다리-홍예문-문수산산림욕장-강화대교(스탬프함) 도보거리 : 약 13km (실 13.4 km)/약 5시간 10분(실 6시간 10분.) 교 통 편 : 성동검문소(90번버스)-김포골드 구례역-김포공항역-지하철 9호선 ※ 경기옛길 강화길 제4길 한남정맥길 한남정맥의 숨결을 느껴보는 길 한남정맥의 최 북서쪽에 위치한 문수산은 376m로 산수의..

경 기 옛 길 2022.11.19

하동천 생태탐방로 및 연꽃단지

※ 하동천 생태탐방로 이정표 하동천 생태탐방농원 위 치 : 경기 김포시 하성면 봉성리 643-1 교통편 : 김포골드 사우역 (7번) 봉성리(하늘농원 입구)하차 하성종점에서 (23번) 봉성 2리마을회관 하차 하동천은 1970년대 이전에는 한강이었던 곳이다. 본래 봉성산을 돌아서 내려가는 한강이 여러 갈레로 흘렀는데 1970년대 초반 농경지 확대를 위한 간척사업을 하면서 이곳이 농경지로 변하였다. 한강의 새끼강인 하동천은 메우지 않고 2011년 생태공간인 생태공원으로 조성하였으며 현재는 농수로의 역활도 하고 있다. ※ 봉성산 삼거리 (우-전류리포구. 좌-봉성리. 하성방향) ※ 경기옛길 강화길 제3길 스탬프함 ※ 연 꽃 단 지 ※ 철 새 도 래 지

관광여행사진 2022.11.16

경기옛길 강화길 제3길-운양나룻길

※ 김포 통 진 성 당 ※ 하동천 생태공원의 조형물 경기옛길 강화길 제 3길 - 운양나룻길 (운양역4번출구-통진성당입구) 도보구간 : 운양역 4번출구-한강야생조류공원(스탬프함)-용화사삼거리-운양삼거리-누산리배수문- 하동천생태공원(스탬프함)-서암천-통진중고사거리-통진시장-통진성당입구 도보거리 : 약 15km (실 15.2 km)/약 4시간 40분(실 5시간 분.) 교 통 편 : 통진성당앞(90번버스)-김포골드 구례역-김포공항역-지하철 9호선 ※ 경기옛길 강화길 제3길 운양나룻길 김포의 옛 포구와 나루, 한강물길을 추억하는 길 강화로는 한강수로를 따라 많은 나루와 포구가 있었습니다. 한강수로는 조선에 있어 한양으로 들어가는 물류유통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경 기 옛 길 2022.11.14

경기옛길 강화길 제 2길 - 금릉옛길

※ 모담공원 구름다리 ※ 모담공원 정상의 정자 경기옛길 강화길 제 2길 - 금릉옛길길 (풍무역(새장터공원-운양역4번출구) 도보구간 :풍무역(새장터공원)-풍무사거리-김포장릉(스탬프함)-사우역-김포향교-걸포중앙공원- 계양천-김포아트빌리지(스탬프함)-모담공원-모담폭포-운양역 4번출구 도보거리 : 약 12km (실 .km)/약 3시간 20분(실 시간 ) (1/2코스 이어가기 였기에 참조바랍니다.) 교 통 편 : 김포골드 운양역 4번출-김포공항역-지하철 9호선 경기옛길 강화길 제2길 금릉옛길 김포의 지명은 고구려 장수왕(475년)때 ‘신성한 포구마을’이라는 의미로 검포(黔浦)라고 불렸습니다. 이후 통일신라 경덕왕은 757년 행정구역을 개편하며 흔히 사용하지 ..

경 기 옛 길 2022.11.10

김포 장 릉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능)

※ 홍 살 문 ※ 장 릉 (좌- 원 종. 우- 인헌왕후) 시대 : 조선 1627년(인조 5년) 문화재 지정 : 사적 제 202호 건립시기 : 1632년 능호 제정 소재지 :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장릉로79) ※ 장릉 입구 주차장 ※ 세계유산 조선왕릉 표지석 ※ 장릉 입구 (매표소)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조선후기 제16대 인조의 아버지 원종과 왕비 인헌왕후(1578~1626) 구씨를 모신 능이다. 왕릉·왕비릉을 나란히 두어 쌍릉으로 197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원종의 묘는 처음 양주에 있던 것을 1627년(인조 5)김포에 개장(改葬)하여 흥경원(興慶園)이라 하였고, 1632년 능으로 봉하여 장릉이라 하였다. ※ 정 자 각 ※ 장 릉 (좌- 원 종. 우- 인헌왕후) 쌍릉묘 원종은 (1508~1619)은 ..

관광여행사진 2022.11.08

11.5. 경기엣길 강화길 제1길-천등고갯길

※ 옥녀봉이라고도 불리던 당산미 정상의 일출봉은 또다른 이름인가 ? ※ 당산미 정상의 당 산 정 경기옛길 강화길 제 1길 - 천등고갯길 (아라김포여객터미널-풍무역(새장터공원) 도보구간 : 아라김포여객터미널-고촌역-당산미-찬등고개-신촌리-김포대수로-이화마을 현서교사거리-계양천변길-선수공원(풍무역)-새장터공원-(김포장릉-사우역) 도보거리 : 약 12km (실17.2km)/약 3시간 10분(실 5시간 20분 장릉탐방포함) 교 통 편 : 김포골드 사우역 2번출-김포공항역-지하철 9호선 ※ 경기옛길 강화길 제1길 천등고갯길 강화길의 첫 관문, 임금의 효심이깃든 어로(御路)길 천등고갯길은 서울에서 경기도로 넘어오는 첫 관문입니다. 천등고개는(조선왕조실..

경 기 옛 길 2022.11.08

경기둘레길 59코스=김포새솔학교에서 함배수안마을

※ 가현산 숲길 ※ 가현산 가 현 정 경기둘레길 59코스 (김포새솔학교-함배수안마을) 도보구간 : 김포새솔학교(고창공원)-솔터숲길-군부대도로-가현산숲길-가재약수터-가현정- 사랑의쉼터-생태통로-유현리-대곶남로-함배마을버스정류장(대능2교) 도보거리 : 약 9.3km (실 12km)/약 3시간 분(실 3시간 20분 ) 교 통 편 : 김포골드 양촌역 1번출-김포공항역-지하철 5호선 (또는 함배마을 버스정류장 83번-사우역) ※ 가현산 꼭대기에서 노래를 부르다 한남정맥과 함께 하는 노선이다. 김포 새솔학교 앞을 출발하면 바로 가현산 북쪽 기슭이다. 포장된 산길을 따라 가현산으로 오른다. 정상으로 오르는 길에서 가재가 살고 있다는 가재약수터를 만난다. 가현산 꼭대기에서 보는..

제 11회 안산시장배 그린워킹대회

※ 제11회 그린워킹대회 포스터 ※ 출발에 앞서 안산시 그린워킹 관계자 분들 ~ 대회일정 : 2022-10-30 14:00:00 ~ 18:00:00 (안산 호수공원) 참가대상 : 걷기를 사랑하는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 참 가 비 : 1인 10,000원(행사용품 및 기념품 제작으로 사용), 시상/인증 : 생수&간식, 행사스카프,기념메달 증정, 경품추첨 동의보감에서는 약을 써서 몸을 보호하는 약보(藥補)보다 좋은 음식으로 원기를 보충하는 식보(食補)가 낫고, 식보 보다는 걷는 행보(行補)가 낫다는 말이 있습니다. 서양의 히포크라테스도 최고의 약은 바로 걷는 것 이다 는 말을 남겼습니다. 안산시 걷기협회는 시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우수한 걷기 강사진을 배출하여 시민들에게 올바른 걷기 방법 등을 교육하여 건..

DMZ RUN 평화걷기 - 평화를 위한 희망찬 질주

※ 평화와 하나됨을 위한 첫걸음 평화의 발 ※ 평화걷기를 배웅하는 치어리더와 마칭밴드 DMZ RUN 평화걷기 행사 (평화를 향한 희망찬 질주) 도보구간 : 임진각(평화의종각)-임진강변(생태탐방로)-통일대교 하단-에코뮤지엄-초평도전망대- 임진나루-율곡습지공원-화석정-장단가든--장산1리마을-마정리들판-임진각광장 도보거리 : 약 20Km / 시간 : 5시간 분 예상 교 통 편 : 경의중앙선 홍대앞-문산역 착 - 임짐각(셔틀버스) 임진각(셔틀버스) - 문산역 출 - 홍대앞 DMZ RUN 평화 걷기는 평화의 의미를 되새기고 생태적 가치를 몸소 느끼는 임진강변 생태탐방로 코스를 포함하고 있어, 체험의 장이 될 것입니다. 또한 민간인 통제구역인 군 순찰로를 활용한 철책넘어로 임진강의 민통선 풍광을 즐길 수 있으며 임..

평화누리길 2022.11.01

경기둘레길58코스-김포장릉에서 김포새솔학교앞

※ 허산 솔터숲길 이정표 경기둘레길 58코스 (김포장릉-김포새솔학교) 도보구간 : 장릉산쉼터-산책로-고려공원입구-서초삼거리-외옹부락마을화관-금빛근린공원 서온요양병원-허산-가현산갈림딜-고창공원(김포새솔학교) 도보거리 : 약 9.3km (실 km)/약 3시간 분(실 시간 분 ) 교 통 편 : 김포골드 장기역 1번출-김포공항역-지하철 5호선 들판 건너 부드러운 언덕으로 장릉 능역과 산책로를 돌아서 입구에 선다. 처음 걸음은 매표소 앞부터 시작하는 숲길을 따라간다. 김포시청 뒤 장릉산 기슭에도 싱그러운 숲으로 이어지는 산책로가 있다. 숲 산책로가 끝나면 마을 길이다. 마을길을 한참 돌아 다시 김포대수로와 마주한다. 2km쯤 이어지는 김포평야를 건너간다. 들판 끝 금빛근린..